약국에 약이 부족해 약사들끼리 품앗이를 한다?

약사 1천300명 참여하는 '오픈 채팅방' 개설돼 의약품 직거래
팬데믹 이후 지역 약사회서 채팅방 만들어 의약품 교환하기도
수급난은 일부 의약품 국한…"수급 불안정 의약품은 20종 정도"

 시중에 유통되는 일부 의약품의 수급 불안정으로 인한 일선 약사들과 소비자들의 고충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맘카페 등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약을 구한다' '특정 약을 보유하고 있는 약국이 어디냐'는 글이 올라오는가 하면, 약국의 재고 소진으로 약을 구하지 못하고 '약국 뺑뺑이'를 돌았다는 글도 있다.

 한 네티즌은 "약사들도 약을 구하지 못해 서로 품앗이한다고 들었다"는 댓글을 달았다.

 그렇다면 약국에 약이 부족해서 약사들끼리 의약품을 직접 교환하고 있다는 건 사실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수급난 해소를 위해 약사들끼리 의약품을 교환하는 건 사실이다.

 일선 약사들과 제약업계를 취재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8월 개설된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약사를 위한 마켓'에는 현재 약 1천300명의 약사가 가입돼 있다. 약사들은 채팅방에 '구합니다' '있습니다'란 글을 올리며 자체적으로 의약품을 교환하고 있다.

 채팅방 개설자인 문석훈 약사는 "주변 약국들은 도매상이 대부분 같다 보니 수급 안 되는 의약품들이 비슷했다"며 "다른 지역에 있는 약사한테 우리 약국에서 동이 난 의약품을 물어보니 보유하고 있다고 해서 오픈 채팅방을 만들어 전국적으로 교환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채팅방에는 하루에 200건 이상의 글이 올라온다고 전했다.

약사 간의 의약품 교환 등 거래가 이뤄지는 오픈 채팅방 '약사를 위한 마켓'

 지역 약사회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대화방도 있다. 서울 강동구약사회는 지난해 3월 강동구 약사회원만 참여할 수 있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강동팜교품장터'를 개설했는데 현재 100여명의 약사가 활동하고 있다.

 강동구의 약국은 240개 정도인데 약사의 절반 정도가 직거래에 참여하는 셈이다.

 약국간 거래는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다. 그러나 약사법 제47조에 따라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이 없어 약국 개설자가 다른 약국 개설자로부터 해당 의약품을 긴급하게 구입하는 경우' 약국간 거래가 가능하다.

 약사 간의 의약품 온라인 직거래는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현상으로 보인다.

 문석훈 약사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의약품을 교환할 수 있는 곳이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강동구 약사회 유상준 정보통신위원장도 "팬데믹 전에도 약사 간의 거래가 있긴 했지만, 의료기기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고 의약품을 교환하는 경우는 없었다"며 "현재는 지역구 약사회나 약사 커뮤니티 등에서 약사들만을 대상으로 한 의약품 교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약 수급 불안정 지속 기간

 최근 경기도약사회에서 소속 약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492명)의 99%가 현재 의약품의 수급 불안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수급 불안정 지속 기간에 대해서는 '1년 이상'이란 응답이 67%를 차지했다.

 약사 A씨는 "20년 넘게 약국을 운영하면서 지금처럼 약이 떨어져서 걱정이었던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약국 문을 닫은 후에도 약을 구하려고 도매상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득템'하려고 한 다"고 전했다.

 약사들이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병원에 연락해 처방전을 변경해달라고 부탁하는 사례도 있다. 

 약사 B씨는 "약의 효능만 같으면 되니 병원에 연락해 재고가 있는 동일 성분 조제로 처방을 바꿔 달라고 부탁을 드린다"며 "환자와 병원 모두에게 죄송해야 하는 이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구하기 힘든 약을 다른 약에 끼워 파는 도매상도 있다고 한다. 약사 C씨는 "도매상에서 최소 주문 금액을 설정해 놓거나 잘 팔리지 않는 약에 구하기 힘든 약 하나를 끼워서 파는 등 갑질을 하고 있다"며 "약이 없으면 안 되니 울며 겨자 먹기로 구매하고 있다"고 했다.

맘카페 등 커뮤니티에서는 특정 의약품을 보유한 약국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선 약국에서 수급난을 겪는 의약품은 일부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 대한약사회 민필 기 이사는 "약의 수급 불안정 상황은 시도 때도 없이 바뀌어서 어제 재고가 많던 의약품이 오늘 갑자기 동날 수도 있다"며 "대한약사회에서 현재 파악한 수급 불안정 의약품은 변비약, 감기약 등 약 20종 정도"라고 밝혔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수급 불안정의 원인은 하나로 꼽을 수 없다"며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수요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약사들의 불안 심리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인류 위협하는 슈퍼박테리아…"한국도 국가 차원 투자해야"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며 치료제 개발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치료제 연구·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1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벤처 노아바이오텍은 대웅제약과 항생제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항생제에 독창적 물질을 결합해 항생제가 표적 세균 내부로 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세균 내 항생제 농도를 높인다고 노아바이오텍은 설명했다.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신약 개발 벤처 펩토이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2022년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파스퇴르연구소의 고위험성 병균 실험실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후보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펩토이드는 이렇게 도출한 후보물질 PDL-7과 PDL-16이 내성균인 그람음성균에 적용됐을 때 내성 발생이 낮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다제내성균에 대한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 회사는 해당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을 준비 중이다. 다제내성균은 항생제의 잦은 사용 등으로 인해 내성이 강해져 여러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 균을 말한다. 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출산 전후 우울증,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조기 치료 필요"
출산 전후 우울증 진단을 받은 임산부는 1년 안에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면 우울증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상하이 퉁지대 칭선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2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이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과 사망 간 관계를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의 진단 후 1년간 자살 위험이 우울증 없는 여성의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드러나 주산기 우울증과 자살 위험 연관성은 가족 요인이나 기존 정신 질환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임산부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전문가 모두 이런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산 전후 임산부가 겪는 주산기 우울증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최대 20%의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01년과 2018년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사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 8만6천551명과 우울증이 없는 86만5천510명을 대상으로 사망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 20만원 넘는 '입덧약' 싸지나…건강보험 적용 절차 밟는 중
입덧약이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신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입덧은 대부분의 임신부가 겪는 증상이지만, 이를 완화해주는 입덧약은 전 세계 1위의 극심한 저출산 상황에서도 여태껏 비급여 의약품으로 남아 있다.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말 현재 8개 제약사가 자사 입덧약을 보험급여 의약품 목록에 올리겠다고 신청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이들 제약사가 입덧약의 효능·효과와 희망 가격 등을 담아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연 건강보험에서 약값을 지원해줄 만큼 가치가 있는지 검증하는 '급여 적정성 평가'를 하고 있다. 복지부 보험약제과 관계자는 "심평원이 일부 미흡한 자료를 보완해서 다시 제출하도록 제약사에 요구했고, 관련 학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순조롭게 등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부분 국가와 마찬가지로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의약품 위주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선별등재 방식'(Positive List System)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제약사가 자사 의약품을 급여목록에 올리려면 '비용 효과성'(경제성 평가 등)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