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지질혈증 5년새 2.4배로…"건강검진 주기 2년으로 단축해야"

동맥경화·심근경색 등 원인…30대 여성환자도 3배 이상 증가

 혈액 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을 포괄하는 질환인 이상지질혈증 환자가 최근 5년 새 2배 넘게 늘었다.

 이상지질혈증은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절주, 금연, 규칙적인 운동 등 올바른 생활습관 실천과 정기적인 검진으로 예방·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연령별 성별 일반건강검진 판정결과 유질환자 세부현황'에 따르면 2021년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146만7천539명으로 2016년(62만4천345명)의 약 2.4배로 늘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62만4천345명→77만1천840명→89만5천591명→108만4천319명→111만6천196명→146만7천539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또 성별·연령별 유병률에 따라 남성은 24세부터, 여성은 40세부터 국가건강검진에서 이상지질혈증 검진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20·30대 남성과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환자 수에는 차이가 있다.

  2021년 기준 25∼29세 남성 환자는 1천116명으로 여성(766명)의 1.5배, 30∼34세 남성 환자는 5천62명으로 여성(1천840명)의 2.8배, 35∼39세 남성은 1만3천846명으로 여성(3천145명)의 4.4배다.

 다만 최근 5년 새 40세 미만 여성 환자가 크게 증가해 여성 환자 검진 연령을 하향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2016∼2021년 25∼29세 여성 환자는 2.5배로, 30∼34세 3.4배로, 35∼39세 3.1배로 각각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 발표한 '2023∼2027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에서 국가건강검진 내 이상지질혈증 수검자 연령 확대 및 검진주기 단축 등 검사 확대를 검토하겠다면서도, 구체적인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박재형 고려의대 순환기내과 교수는 지난 14일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 "건강검진은 질병 조기 발견은 물론 환자 건강 관리를 위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검사 주기를 다시 2년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질병관리청은 신개념 입자인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결핵 백신이 기존 백신(BCG)보다 더 나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4일 밝혔다.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란 상온에서는 입자 형태를 유지하고 체온에서는 그 형태를 변화해 항원(면역 반응을 유도해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물질)을 천천히 방출시키는 입자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이 기술을 보유한 한국세라믹기술원의 공동 연구진은 결핵의 대표 항원인 Ag85B를 정제한 후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전달체에 전기적 반응을 이용해 탑재했다. 이후 연구진이 세포실험을 수행한 결과 나노입자 백신은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며 세포 내에서 체온에 맞춰 점진적으로 항원을 방출했다. 또한 독성 반응 없이 세포 생존율이 유지됐으며, 기존 백신보다 더 효과적으로 면역 세포(항원제시세포)에 항원을 전달했다. 연구진은 영유아 대상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 나노입자 백신을 쥐에게 접종했다. 또 이미 어린이 대상 기존 결핵 백신인 BCG를 접종한 청소년·성인에게도 추가 효과가 있는지 보기 위해 BCG를 맞은지 6주가 지난 쥐에게도 나노입자 백신을 주입했다. 이후 이 그룹들을 BCG 백신 또는 항원 자체만을 접종한 쥐 그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