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과반, 의대정원 300∼1천명 이상 늘려야"

김원이 의원 설문조사…"응급의료 의사인력 충원 의견 가장 많아"
"지방국립대 의대·부속대학병원 추가 신설엔 79.7% 찬성"

 

 정부가 의사인력 확충을 위해 의과대학 증원 논의를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 과반은 의대 정원을 최소 300명에서 1천명 이상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목포)이 낸 '2023 대국민 의료현안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대 정원을 얼마나 늘려야 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4.0%(241명)가 1천명 이상이라고 답했다.

 300∼500명 늘려야 한다가 16.9%(170명), 500∼1천명 15.4%(154명), 100∼300명 11.5%(115명)이었다.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20.2%(203명)였다.

 응답자의 56.3%가 현재 정원의 약 10% 이상을 증원해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의대 정원은 2006년 이후 3천58명으로 동결돼 왔다.

 지방 의료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지방국립대(목포대·순천대·안동대·창원대·공주대)에 의과대학과 부속대학병원을 신설해야 하느냐는 질문엔 응답자의 79.7%(799명)가 찬성했다.

 찬성 이유로는 가장 많은 74.8%(복수응답·598명)가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꼽았다.

비수도권 지역의 의료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56.6%(복수 응답·568명)가 '지방 의료시설 및 의료장비 개선'이라고 답했다. '대학병원 등 대형 의료기관 유치' 54.8%(550명), '권역 내 의사 인력 양성 및 배출' 49.4%(495명), 보건소·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 강화 41.7%(418명), '일차 의료 확대 및 질 향상' 40.4%(405명)가 뒤를 이었다.

 김 의원은 "충분한 규모의 의대 정원 증원과 지방국립대 의대 신설에 찬성하는 국민 여론이 압도적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김 의원실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3∼19일 전국 20∼60대 남녀 1천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질병관리청은 신개념 입자인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결핵 백신이 기존 백신(BCG)보다 더 나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4일 밝혔다.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란 상온에서는 입자 형태를 유지하고 체온에서는 그 형태를 변화해 항원(면역 반응을 유도해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물질)을 천천히 방출시키는 입자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이 기술을 보유한 한국세라믹기술원의 공동 연구진은 결핵의 대표 항원인 Ag85B를 정제한 후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전달체에 전기적 반응을 이용해 탑재했다. 이후 연구진이 세포실험을 수행한 결과 나노입자 백신은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며 세포 내에서 체온에 맞춰 점진적으로 항원을 방출했다. 또한 독성 반응 없이 세포 생존율이 유지됐으며, 기존 백신보다 더 효과적으로 면역 세포(항원제시세포)에 항원을 전달했다. 연구진은 영유아 대상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 나노입자 백신을 쥐에게 접종했다. 또 이미 어린이 대상 기존 결핵 백신인 BCG를 접종한 청소년·성인에게도 추가 효과가 있는지 보기 위해 BCG를 맞은지 6주가 지난 쥐에게도 나노입자 백신을 주입했다. 이후 이 그룹들을 BCG 백신 또는 항원 자체만을 접종한 쥐 그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