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료 인프라 붕괴 우려에…'지방의대' 중심 증원 가능성

인구 천 명당 의사 수·의대 정원, 서울보다 지방 훨씬 적어
지방선 연봉 3억, 4억원 줘도 의사 구하기 힘들어
'지방 국립대·지역인재 전형' 중점 둘 가능성

 정부가 18년째 묶여있던 국내 의과대학 정원을 2025년 입시부터 대폭 늘리려고 하는 가운데,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방의대 중심으로 증원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가 의대 정원을 파격적으로 늘리려고 하는 것은 고령화 등에 대비해 인구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사 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더불어 의사가 서울에 몰려 있는 바람에 붕괴 위기에 처한 지방 의료를 살리려는 취지도 있다. 이에 지방 국립대, 지역인재 전형으로 의대 정원 확대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역별 의대 설치 현황(2021년)

 ◇ 의대·의사들 모두 '서울'에 집중…고액연봉에도 지역 의사는 태부족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2021년 기준 서울 3.37명으로, 전국 평균(2.13명)을 훨씬 넘는다.

 같은 수도권이라 하더라도 경기는 1.68명, 인천은 1.77명에 불과해 서울만 벗어나면 의료 인프라의 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 수는 세종이 1.23명으로 가장 적었고, 경북(1.38명), 충남(1.54명), 충북(1.57명), 울산(1.60명 등도 매우 적었다.

 더구나 전국 의대 40곳 중 8곳이 서울에 몰려 있고, 지역별 의대 정원 편차도 크다.

 2021년 권역별 의대 입학 정원은 서울이 826명으로, 전체 의대 정원(3천58명)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부산·울산·경남 459명, 대구·경북 351명, 대전·충남 332명, 강원 267명, 광주·전남 250명, 전북 235명, 인천·경기 209명, 충북 89명, 제주 40명 순이다.

 전남과 세종에는 의대가 아예 없다.

 인구 1만명 당 의대 정원은 2021년 기준 서울 0.87명으로 전국 평균(0.59명)의 1.5배에 달한다.

 경기(0.09명), 경북(0.19명), 경남(0.23명) 등은 서울과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로 의대 정원이 적어 그 격차가 매우 크다.

권역별 의대 입학정원 현황(2021년)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에서는 3억원, 4억원 등 고액의 연봉을 제시하고도 의사를 쉽게 구하지 못해 필수의료 인프라가 붕괴 위기에 놓였다.

 강원도 속초의료원 응급실은 전문의 5명 가운데 3명이 잇따라 퇴사하면서 지난 1월부터 주4일 단축 운영을 하는 등 곤란을 겪었다.

 의료원은 전문의 연봉을 4억원 대로 올리고, 응급의학과 전공의 4년 수료자까지로 응시 자격을 확대한 뒤에야 약 4개월 만에 응급실을 정상 가동할 수 있게 됐다.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조기에 사망하는 환자 수도 지역별 격차가 상당하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에게 제출한 '치료 가능 사망률 현황'에 따르면 2021년 인구 10만 명당 서울의 치료 가능 사망자는 40.4명으로, 전국 평균(47.7명)에 비해 7명 이상 적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의료적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뤄졌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수 있는 조기 사망을 뜻한다.

 인천은 51.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강원 49.6명, 경남 47.3명, 부산 46.9명, 충북 46.4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 '지방 국립대·지역인재 전형' 중점 둘 가능성

 정부는 의사 부족으로 붕괴 위기에 처한 지방 의료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지방 국립대를 위주로 의대 정원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지방의대 입학 정원을 늘리는 것은 지역 의사 확충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방 의대를 졸업한 의사가 지방에 남아 일할 확률은 수도권에서 의대를 졸업한 의사가 지방에서 일할 확률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작년에 발간한 '의사의 지역 근무 현황 및 유인·유지 방안 연구' 보고서는 이를 잘 보여준다.

 우리나라 활동 의사 4천18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지방 광역시·도에 있는 의대를 졸업한 의사가 지방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각각 60%, 40%가량이었다.

 반면 수도권에서 의대를 졸업한 의사가 지방에서 일하는 비율은 13%에 그쳤다.

 이에 정부가 이번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서 지방 국립대 정원과 지역인재전형 비율 확대에 힘을 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지역에서 고등학교 전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만 해당 지역 내 의대에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한국대한교육협의회에 따르면 2024년도 의대 지역인재 정원은 1천30명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도 언론 인터뷰에서 "지역 간 의료 불균형 완화를 위해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확대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일부에서는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지역 민심을 잡기 위해서라도 정부와 여당이 지방 의대 중심의 정원 확대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관측한다.

 더구나 19일 발표되는 의대 정원 확대 방안에서는 의료계의 반발이 큰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대'는 빠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두 정책의 대안으로라도 지방 의대 중심의 확충안을 내놓아 지역의료 인프라를 개선하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인류 위협하는 슈퍼박테리아…"한국도 국가 차원 투자해야"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며 치료제 개발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치료제 연구·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1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벤처 노아바이오텍은 대웅제약과 항생제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항생제에 독창적 물질을 결합해 항생제가 표적 세균 내부로 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세균 내 항생제 농도를 높인다고 노아바이오텍은 설명했다.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신약 개발 벤처 펩토이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2022년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파스퇴르연구소의 고위험성 병균 실험실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후보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펩토이드는 이렇게 도출한 후보물질 PDL-7과 PDL-16이 내성균인 그람음성균에 적용됐을 때 내성 발생이 낮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다제내성균에 대한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 회사는 해당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을 준비 중이다. 다제내성균은 항생제의 잦은 사용 등으로 인해 내성이 강해져 여러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 균을 말한다. 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출산 전후 우울증,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조기 치료 필요"
출산 전후 우울증 진단을 받은 임산부는 1년 안에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면 우울증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상하이 퉁지대 칭선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2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이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과 사망 간 관계를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의 진단 후 1년간 자살 위험이 우울증 없는 여성의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드러나 주산기 우울증과 자살 위험 연관성은 가족 요인이나 기존 정신 질환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임산부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전문가 모두 이런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산 전후 임산부가 겪는 주산기 우울증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최대 20%의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01년과 2018년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사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 8만6천551명과 우울증이 없는 86만5천510명을 대상으로 사망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 20만원 넘는 '입덧약' 싸지나…건강보험 적용 절차 밟는 중
입덧약이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신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입덧은 대부분의 임신부가 겪는 증상이지만, 이를 완화해주는 입덧약은 전 세계 1위의 극심한 저출산 상황에서도 여태껏 비급여 의약품으로 남아 있다.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말 현재 8개 제약사가 자사 입덧약을 보험급여 의약품 목록에 올리겠다고 신청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이들 제약사가 입덧약의 효능·효과와 희망 가격 등을 담아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연 건강보험에서 약값을 지원해줄 만큼 가치가 있는지 검증하는 '급여 적정성 평가'를 하고 있다. 복지부 보험약제과 관계자는 "심평원이 일부 미흡한 자료를 보완해서 다시 제출하도록 제약사에 요구했고, 관련 학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순조롭게 등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부분 국가와 마찬가지로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의약품 위주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선별등재 방식'(Positive List System)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제약사가 자사 의약품을 급여목록에 올리려면 '비용 효과성'(경제성 평가 등)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