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백혈병 신약 물질, 기존약 치료 실패한 환자에 효과"

 한미약품은 자체 개발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신약 후보 물질 '투스페티닙'이 임상 1·2상에서 기존 약 '베네토클락스'와 병용했을 때 기존 약으로는 치료가 안 된 환자에게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보였다고 31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지난 30일(현지시간) 포르투갈 에스토릴에서 열린 유럽혈액학회에서 파트너사인 미국 앱토즈 바이오사이언스(Aptose Biosciences)가 이런 임상 중간 분석 결과를 웹캐스트를 통해 발표했다고 전했다.

 투스페티닙은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발현되는 돌연변이를 표적하고 기존 약물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도록 개발된 신약이다. 2021년 한미약품이 앱토즈에 기술 수출했다.

 투스페티닙 임상 1·2상은 AML 환자 140명을 대상으로 91명에게 투스페티닙 단일요법을, 나머지 49명은 투스페티닙과 베네토클락스를 병용해 임상을 진행 중이다.

 한미약품은 두 치료제를 병용할 때 평가 가능한 환자 31명의 객관적 반응률(ORR)은 48%로 나타났고, 이 중 베네토클락스 저항성을 가지는 환자는 81%였다고 설명했다. ORR은 종양 크기가 줄거나 완전히 사라지는 비율을 말한다.

 FLT3 돌연변이 환자의 ORR은 60%, FLT3 야생형의 ORR은 43%였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두 치료제 병용요법은 베네토클락스 단독요법으로 병세 호전에 실패한 환자에게 내성 억제를 통한 또 다른 치료 옵션을 제공한다.

 앞서 투스페티닙 단일요법 임상에서는 80㎎·120㎎·160㎎ 투여군에서 암세포가 사라지는 '완전 관해'가 확인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