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검사 '허위 양성', 안심할 일 아니다"

  유방 X선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지만 조직검사 등 추가 검사에서 유방암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허위양성(false positive) 판정도 안심할 것은 못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과대학 의역학·생물통계학과의 마오신허(Xinhe Mao)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 검사에서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여성은 장기적으로 유방암이 나타날 위험이 다른 여성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1991년부터 2017년 사이에 유방암 추가 검사에서 첫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여성 4만5천213명  그리고 이들과 연령, 유방 X선 검사 연도, 유방암 검사 빈도와 매치시킨 그러나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일이 없는 여성 45만2천130명의 의료기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카롤린스카 유방암 위험 예측 유방 X선 검사 계획'의 데이터 중 허위양성 판정이 나온 1천113명과 그리고 허위양성 판정은 없었지만, 유방 밀도에 관한 정보가 있는 같은 수의 대조군에 관한 자료도 참고했다.

 전체적으로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적이 있는 여성은 향후 20년 사이의 유방암 발생률이 11.3%로,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일이 없는 여성의 7.3%보다 6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위양성 전력이 있는 여성은 또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84%,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7% 높았다.

 이는 유방암 검사에서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여성도 장기적으로 유방암 위험이 크기 때문에 경계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허위양성 판정 여성의 유방암 위험은 특히 60~75세 연령층이 허위양성 판정 전력이 없는 여성보다 2배 높았다. 40~49세 연령층은 38% 높았다.

 또 허위양성 판정 여성 중 유방 밀도가 낮은 여성이 유방암 발생률이 거의 5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적이 있으면서 유방 밀도가 높은 여성은 유방암 위험이 그리 크지 않았다.

 유방 밀도가 높으면 유방암 위험도 높아지는 만큼 이는 새로운 사실이기는 하지만 놀라운 일은 아니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허위양성은 치밀 유방 여성에게 더 흔하다. 유방에서 지방이 없는 조직은 유방 X선 판독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밀 유방 여성은 추가 검사를 받으라는 요청을 받기 쉽다.

 그러나 유방 밀도가 낮은 여성이 재검사 요청을 받을 때는 실제로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었기 때문일 경우가 많다. 이런 여성은 허위양성 판정이 나오더라도 장차 유방암 위험이 높을 수 있다. 아주 작은 종양을 놓쳤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허위양성 판정 후 나타난 유방암은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쪽의 유방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92% 높았다.

 허위양성 판정을 받은 유방이 아닌 반대쪽 유방에서 유방암이 발생할 가능성은 8%로 높지 않았다.

 유방암 검사의 허위 양성률은 미국이 49%, 유럽이 20%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다만 스웨덴은 유방암 검사 간격, 허위 양성률이 다른 나라들과는 다른 만큼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연구팀은 인정했다.

 스웨덴에서는 40~74세 여성은 모두 18~24개월 간격으로 유방암 검사를 받도록 권장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 협회 저널 - 종양학'(JAMA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건강보험 지불체계 손본다…"행위별 수가제도 대안 모색"
대통령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필수의료·공정보상 전문위원회가 지난 17일 5차 회의를 열고 건강보험 가격구조 개편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보건복지부가 밝혔다. 전문위는 "행위별 수가제도가 환산지수 역전현상, 상대가치제도의 상시 조정 어려움 등으로 인해 보상구조의 왜곡을 심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며 "지불제도의 불합리성과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을 논의하고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건강보험 지불체계의 근간인 행위별 수가제도는 모든 개별 의료행위마다 단가를 정해 지불하는 방식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행위별 수가가 전체 건강보험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의료기관이 받는 수가는 개별 행위별로 정해지는 '상대가치점수'에 '환산지수'를 곱해 결정되는데, 의원의 인상률이 커서 병원보다 높은 역전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정부는 필수의료처럼 저평가된 의료행위에 대해 환산지수를 더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의료계의 반대에 부딪혀 있다. 특위는 이와 함께 보완형 공공정책수가 도입, 대안적 지불제도 확대 등 행위별 수가체계를 보완해 바람직한 수가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대안을 구체화해나갈 계획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통풍 유발하는 '고요산혈증' 유전요인 351개 발견"
질병관리청은 고요산혈증 발병 위험을 높이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내 고위험군 선별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고요산혈증이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체내에 요산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통풍과 고혈압,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과 영국·일본 바이오뱅크 등에 등록된 유럽인·한국인·일본인 102만9천323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고요산혈증에 영향을 미치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 중 단백질 상호작용과 관련된 'KLHDC7A' 등 17개의 유전자는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요인이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유전적 요인의 위험도를 분석했을 때, 위험 요인을 보유한 상위 10% '고요산혈증 고위험군'은 하위 10%의 저위험군과 비교해 통풍 발병 위험도는 7배, 고혈압 발병 위험도는 1.5배 높았다. 질병청은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더라도 일반인에 비해서 높은 요산 수치를 보이기 때문에 고요산혈증 발병에 주의해야 한다"며 "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