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화장품 수출 48억달러로 사상 최대…한류로 올해 100억달라 가능성

중국 14%↓·미국 61%↑·일본 22%↑…화장품 수입국 1위는 프랑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금액이 48억달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덕에 K-뷰티 인기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이 급증했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8.1% 증가한 48억2천만달러(약 6조7천억원)로 반기 기준 가장 많았다.

 [표] 반기별 화장품 수출입 규모 추이 (단위: 천달러)

 

연도 반기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2014 상반기 785,299 741,331 43,968
하반기 1,125,838 756,964 368,874
2015 상반기 1,394,118 734,083 660,035
하반기 1,554,068 790,328 763,740
2016 상반기 1,927,594 756,368 1,171,226
하반기 2,284,753 779,416 1,505,337
2017 상반기 2,286,937 806,231 1,480,706
하반기 2,696,872 829,375 1,867,497
2018 상반기 3,196,315 867,232 2,329,083
하반기 3,103,794 863,312 2,240,482
2019 상반기 3,155,378 852,688 2,302,690
하반기 3,417,896 841,472 2,576,424
2020 상반기 3,448,728 753,751 2,694,977
하반기 4,166,369 776,744 3,389,625
2021 상반기 4,634,058 833,343 3,800,715
하반기 4,582,876 863,008 3,719,868
2022 상반기 4,068,055 877,504 3,190,551
하반기 3,908,061 876,268 3,031,793
2023 상반기 4,079,641 886,052 3,193,589
하반기 4,406,156 856,104 3,550,052
2024 상반기 4,817,124 845,394 3,971,730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지난해의 경우 상반기보다 하반기 수출액이 더 컸던 점 등을 고려해 보면 올해 연간 수출액은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 기존 연간 최대치는 2021년의 92억2천만달러다.

 또 화장품 회사들이 해외 공장에서 직접 제조해 판매하는 물량까지 고려하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한국 화장품 규모는 더 클 수밖에 없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상하이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LG생활건강도 중국 베이징·광저우, 일본 사이타마 등에 화장품 공장을 두고 있다.

 한국콜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와 캐나다,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으며 내년 초 펜실베이니아 제2공장을 완공할 계획이다.

 코스맥스는 미국 뉴저지, 중국 상하이·광저우,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 공장이 있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10년 전인 2014년 상반기(7억9천만달러)와 비교해 6.1배에 이른다. 

 같은 기간 화장품 수입액은 7억4천만달러에서 8억5천만달러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처럼 한국 화장품 수출이 증가한 것은 전 세계로 퍼진 한류와 함께 K-뷰티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 스킨·로션 등 기초화장품과 립스틱·매니큐어 같은 색조화장품 등 한국의 우수 화장품이 전 세계에 소개되면서 수출로 이어졌다.

 지난해 한국 화장품이 수출된 국가는 195개국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12억1천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 8억7천만달러, 일본 4억8천만달러 등이다.

 그러나 국가별 수출액 증감을 보면 중국 수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14.1% 줄었고 미국은 61.1%, 일본은 21.5% 각각 늘었다.

 중국은 경기 침체로 줄었지만, 미국, 일본과 함께 동남아, 유럽 등으로 시장은 다변화하고 있다.

 [표] 올해 상반기 국가별 화장품 수출입 규모 (단위: 천달러)

 

반기 국가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2023년 상반기 중국 1,413,809 47,367 1,366,442
미국 540,371 188,989 351,382
일본 393,432 81,295 312,137
프랑스 37,196 270,974 -233,778
2024년 상반기 중국 1,214,857 53,550 1,161,307
미국 870,309 155,153 715,156
일본 478,176 77,269 400,907
프랑스 32,155 254,762 -222,607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특히 최근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 등 북미 시장이 고성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최근 실적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지역은 미국"이라며 "미국 매출은 지난해 40% 증가한 것을 포함해 최근 3∼4년 동안 연평균 40∼50% 정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도 "빌리프, 페이스샵 등의 브랜드를 통해 미국, 일본으로 꾸준히 수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콜마의 경우 내년 초 미국 제2공장 완공을 앞두고 최근 북미법인의 새로운 사령탑을 선임하는 등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행사하는데 뷰티 카테고리 상단에 한국 중소 인디 브랜드 제품이 많았다"며 "미국에서 자외선 노출에 따른 피부 노화, 안티 에이징(노화 방지), 피부암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한국 썬케어 제품(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인기가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는 중소기업 독립 브랜드인 '인디 브랜드' 인기가 높다. 인디 브랜드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탄생한 중소 화장품 브랜드로 K-컬처 붐을 타고 미국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입액 1위 국가는 세계적 화장품 기업인 로레알 등이 포진한 프랑스로 2억5천만달러에 이른다.

 주요 국가별 수입액은 미국 1억6천만달러, 일본 8천만달러, 중국 5천만달러 등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서울대병원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 아시아 최초 성공"
서울대병원은 수술 부위의 한 곳만 절개하는 '단일공'(single) 로봇을 이용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생체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병원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팀은 지난 2월 단일공 로봇으로 기증자 신장 적출 수술에 성공한 데 이어 3월에는 수혜자에게도 단일공 로봇으로 신장을 이식했다.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이자 아시아에선 처음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이를 포함해 현재까지 총 10건의 단일공 로봇 신장이식을 시행했으며, 현재까지 모두 안정적인 신장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존 신장이식 수술은 개복 방식이나 복강경 '다공' 로봇 방식 등으로 진행돼 왔다. 개복수술은 20㎝ 이상 절개가 필요해 회복이 오래 걸리고 흉터가 크며, 복강경과 다공 로봇 수술은 절개 범위는 줄지만, 복부 여러 부위 절개가 필요하다. 단일공 로봇 수술의 경우 기증자는 배꼽 3∼4㎝, 수혜자는 하복부 6㎝의 최소 절개로 절개 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수술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서울대병원의 설명이다. 하종원 교수는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개복과 동일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통증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여름철 물놀이…콘택트렌즈 감염 주의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5일 여름철 물놀이 중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말고 렌즈 종류에 맞는 관리용품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콘택트렌즈가 수영장 물, 수돗물, 바닷물과 접촉하는 경우 세균과 곰팡이 등 감염 위험이 크다.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이한 경우 물안경을 잘 눌러 써 외부에서 물이 새에 들어오지 않도록 착용할 것을 식약처는 권장했다. 물놀이 후에는 반드시 콘택트렌즈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고, 눈이 불편하거나 충혈, 통증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제거하고 안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 콘택트렌즈는 식약처가 의약외품으로 허가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으로 세척·소독하고 정해진 보관 용기에 보존액과 함께 넣어 보관해야 한다. 관리용품은 눈에 직접 쓰거나 코안을 세척하는 등 다른 목적으로 쓰면 안 된다. 렌즈 착용 후 보관 용기 안 보존액은 즉시 버리고 용기를 깨끗이 세척·건조해 보관해야 하고, 제품 오염을 막기 위해 용기 마개 부분을 만지지 말아야 한다. 렌즈 종류에 따라 렌즈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달라지는 만큼 하드·소프트 렌즈별 전용 세정액을 써야 한다. 식약처는 의료기기인 콘택트렌즈와 의약외품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