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화장품 수출 48억달러로 사상 최대…한류로 올해 100억달라 가능성

중국 14%↓·미국 61%↑·일본 22%↑…화장품 수입국 1위는 프랑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금액이 48억달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덕에 K-뷰티 인기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이 급증했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8.1% 증가한 48억2천만달러(약 6조7천억원)로 반기 기준 가장 많았다.

 [표] 반기별 화장품 수출입 규모 추이 (단위: 천달러)

 

연도 반기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2014 상반기 785,299 741,331 43,968
하반기 1,125,838 756,964 368,874
2015 상반기 1,394,118 734,083 660,035
하반기 1,554,068 790,328 763,740
2016 상반기 1,927,594 756,368 1,171,226
하반기 2,284,753 779,416 1,505,337
2017 상반기 2,286,937 806,231 1,480,706
하반기 2,696,872 829,375 1,867,497
2018 상반기 3,196,315 867,232 2,329,083
하반기 3,103,794 863,312 2,240,482
2019 상반기 3,155,378 852,688 2,302,690
하반기 3,417,896 841,472 2,576,424
2020 상반기 3,448,728 753,751 2,694,977
하반기 4,166,369 776,744 3,389,625
2021 상반기 4,634,058 833,343 3,800,715
하반기 4,582,876 863,008 3,719,868
2022 상반기 4,068,055 877,504 3,190,551
하반기 3,908,061 876,268 3,031,793
2023 상반기 4,079,641 886,052 3,193,589
하반기 4,406,156 856,104 3,550,052
2024 상반기 4,817,124 845,394 3,971,730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지난해의 경우 상반기보다 하반기 수출액이 더 컸던 점 등을 고려해 보면 올해 연간 수출액은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 기존 연간 최대치는 2021년의 92억2천만달러다.

 또 화장품 회사들이 해외 공장에서 직접 제조해 판매하는 물량까지 고려하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한국 화장품 규모는 더 클 수밖에 없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상하이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LG생활건강도 중국 베이징·광저우, 일본 사이타마 등에 화장품 공장을 두고 있다.

 한국콜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와 캐나다,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으며 내년 초 펜실베이니아 제2공장을 완공할 계획이다.

 코스맥스는 미국 뉴저지, 중국 상하이·광저우,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 공장이 있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10년 전인 2014년 상반기(7억9천만달러)와 비교해 6.1배에 이른다. 

 같은 기간 화장품 수입액은 7억4천만달러에서 8억5천만달러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처럼 한국 화장품 수출이 증가한 것은 전 세계로 퍼진 한류와 함께 K-뷰티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 스킨·로션 등 기초화장품과 립스틱·매니큐어 같은 색조화장품 등 한국의 우수 화장품이 전 세계에 소개되면서 수출로 이어졌다.

 지난해 한국 화장품이 수출된 국가는 195개국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12억1천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 8억7천만달러, 일본 4억8천만달러 등이다.

 그러나 국가별 수출액 증감을 보면 중국 수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14.1% 줄었고 미국은 61.1%, 일본은 21.5% 각각 늘었다.

 중국은 경기 침체로 줄었지만, 미국, 일본과 함께 동남아, 유럽 등으로 시장은 다변화하고 있다.

 [표] 올해 상반기 국가별 화장품 수출입 규모 (단위: 천달러)

 

반기 국가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2023년 상반기 중국 1,413,809 47,367 1,366,442
미국 540,371 188,989 351,382
일본 393,432 81,295 312,137
프랑스 37,196 270,974 -233,778
2024년 상반기 중국 1,214,857 53,550 1,161,307
미국 870,309 155,153 715,156
일본 478,176 77,269 400,907
프랑스 32,155 254,762 -222,607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특히 최근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 등 북미 시장이 고성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최근 실적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지역은 미국"이라며 "미국 매출은 지난해 40% 증가한 것을 포함해 최근 3∼4년 동안 연평균 40∼50% 정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도 "빌리프, 페이스샵 등의 브랜드를 통해 미국, 일본으로 꾸준히 수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콜마의 경우 내년 초 미국 제2공장 완공을 앞두고 최근 북미법인의 새로운 사령탑을 선임하는 등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행사하는데 뷰티 카테고리 상단에 한국 중소 인디 브랜드 제품이 많았다"며 "미국에서 자외선 노출에 따른 피부 노화, 안티 에이징(노화 방지), 피부암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한국 썬케어 제품(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인기가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는 중소기업 독립 브랜드인 '인디 브랜드' 인기가 높다. 인디 브랜드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탄생한 중소 화장품 브랜드로 K-컬처 붐을 타고 미국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입액 1위 국가는 세계적 화장품 기업인 로레알 등이 포진한 프랑스로 2억5천만달러에 이른다.

 주요 국가별 수입액은 미국 1억6천만달러, 일본 8천만달러, 중국 5천만달러 등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니파바이러스' 1급 감염병 지정 예고…인도·방글라 등서 발생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인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서 제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을 제1급 감염병 목록에 추가하는 내용의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감염병의 종류 고시' 개정안이 전날 행정예고됐다. 행정예고와 관련 규정 정비 등을 거쳐 하반기 지정될 예정이다. 1급 감염병은 법정 감염병(1∼4급)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으로, 환자 발생 즉시 신고해야 한다. 현재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 17종이 지정돼 있다. 1급 감염병이 새로 지정되는 것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 5년 만이다. 코로나19는 2022년 2급 감염병으로 하향됐다.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된 과일박쥐를 통해 사람이나 돼지와 같은 동물에 전파된 후 사람 간 전파가 이뤄진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사람 간 전파는 직접 접촉 또는 체액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열, 두통,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감염 후반에는 일부 뇌부종이나 뇌염으로 이어진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40∼75%로 높은 편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니파바이러스 감염

메디칼산업

더보기
'이 환자에 면역항암제 효과 있을까' 치료반응 예측 AI모델 개발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면역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 가능한 인공지능(AI) 모델이 나왔다.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진과 함께 환자의 암세포를 분석해 면역항암제 투여 시 효과를 볼 수 있을지를 사전에 확인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면역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체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다. 환자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달리 나타나거나 아예 없을 수도 있어 적합한 환자군을 찾아 투여하는 게 중요하다. 위암, 대장암의 경우 'MSI-H'(고빈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 유전자 변이가 나타나는 환자에게서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높은 편이다. 기존에는 환자의 MSI-H 보유 여부를 판별하려면 세포 조직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 등을 사용했지만, 암세포 내에서 MSI-H가 눈에 잘 띄지 않는 특정 부위에만 있으면 찾아낼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은 암세포 사진을 수천 개의 작은 사진으로 잘게 나누고, 이후 모든 사진을 분석해 영역별로 MSI-H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