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의료불균형'에 영아사망률 최대 1.6배 격차

전국 영아사망률 출생아 1천명당 3.64명…서울 3.13명 '최저'·대구 5.08명 '최고'
연구팀 "전국을 서울 의료수준에 맞추면 영유아 사망 4천455명 감소"

 지역 간 의료불균형이 커지면서 영아사망률에도 격차가 뚜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아 진료 분야의 인적·물적 의료자원이 집중된 서울의 영아사망률이 가장 낮았고, 서울을 기준으로 지역에 따라 최대 1.6배 차가 났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지숙 칠곡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활용해 2001∼2021년 국내 영아사망률의 지역별 격차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됐다.

 의료계에서 영아사망률은 전반적인 공중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된다.

 서울의 영아사망률이 3.13명으로 가장 낮았고, 경기도는 3.20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대구는 5.08명, 경북 4.44명, 전북 4.40명, 부산 4.18명, 강원 3.98명, 경남 3.90명 순이었다.

 서울과 비교해 대구의 영아사망률은 1.62배, 경북은 1.44배, 전북은 1.40배 많았다.

 연구팀은 서울의 영아사망률이 다른 지역에도 적용된다면 이 기간 4천455명의 영아 사망을 예방할 수 있었을 것으로 봤다.

 연구팀은 영아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을 분만 전후 발생하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의한 주산기(출산 전후 기간) 문제로 분석한 뒤 지역별 격차가 나타나는 이유 역시 이와 무관치 않다고 분석했다.

 분만 전후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송해야 하는 의료기관과 물리적 거리, 신생아 중환자실(NICU)과 관련된 의료자원 중에서도 인적자원의 격차 등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연구팀은 "영아 사망의 국내 지역적 격차를 확인한 연구로, 최근 이러한 격차가 더 커지는 추세"라며 "소아청소년과와 관련된 의료 자원, 특히 인적 자원의 지역적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영아사망률의 지역별 격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영아 건강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영아사망률의 지역적 격차를 야기하는 원인에 대한 심층적 조사와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습지에 사는 부채붓꽃, '가시아메바 각막염'에 특효
습지에 사는 여러해살이풀인 부채붓꽃 추출물이 각막염을 일으키는 원생동물을 잡는 '특효약'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부채붓꽃 추출물이 '가시아메바'라는 원생동물 내에서 활성산소를 증가시켜 세포가 스스로 사멸하도록 유도, 생장을 방해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자원관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를 지난 9월 특허로 출원했고, 가시아메바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는 정확한 유효물질이 무엇인지 밝히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가시아메바는 흙이나 담수에서 사는 원생동물로 각막염 등 각막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다만 가시아메바 때문에 각막염이 일어나는 경우는 드문데, 정상적인 각막상피에는 가시아메바가 잘 붙어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막상피에 손상이 있거나 콘택트렌즈를 낀 경우 가시아메바에 의해 각막염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가시아메바 때문에 각막염에 걸린 사람 85%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부채붓꽃은 국내에서는 강원 삼척과 양양 해안가 습지에서 드물게 자라며, 북한 쪽에선 군락으로 서식한다. 세계적으로는 일본과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예로부터 위통, 복통, 치질 치료에 쓰인 식물이다. 부채붓꽃은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