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이주노동자 수·문호 확장, 반인권적 제도·인식도 바꿔야

총선 앞 신당 행렬, 선거공학보다 비전 내놓아야

'안보 위기'라며 권력 암투로 지새운 국정원, 환골탈태하라

▲ 국민일보 = 김기현 대표, '윤심' 내세우지 말고 솔선수범해야

의협이 의대 증원 반대 고수하면 국민 불신 직면할 것

▲ 서울신문 = 홍콩 ELS 부실 판매 철저히 따지되 옥석 가려야

치안센터 통폐합 앞서 치안인력 확충해야

예타 면제 '신바람', 피해는 국민 몫이다

▲ 세계일보 = 홍콩ELS "원금손실 없다"는 은행 말 믿고 가입했다는데

'윤심팔이' 나선 김기현의 역주행…용두사미 되는 與 혁신

北, DMZ 내 감시초소 복구·중화기 배치…도발 대비해야

▲ 아시아투데이 = 삼성 새 컨트롤타워, '성장동력' 투자 이끌길

노사정, 재개된 대화 불씨 잘 살려가야

▲ 조선일보 = GP 재무장 북, 한국민 안보 불안 부추길 궁리 하고 있을 것

19∼34세 청년층 82%가 미혼, 결혼 꺼리니 출생률도 급락

타당성 평가 면제 사업 44조, 둑 무너진 여야 매표 폭주

▲ 중앙일보 = 총선 출마할 장관들, 조속히 거취를 결정하라

적반하장식 북한의 긴장 고조, 불가피해진 비례 대응

▲ 한겨레 = 1년 반 자리싸움만 벌이다 수뇌부 통째 경질 국정원

'행정망 먹통' 대책 마련도 헛발질하는 정부

기업 목소리만 듣고 중대재해법 후퇴시킬 건가

▲ 한국일보 = 의협의 파업 위협…강행했다간 역풍만 불 것

학폭 업무 경찰 이관, 교육을 포기하는 것일 수 있다

내달 중폭 이상 개각…'서오남' 벗고 인재 폭넓게 등용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한·중·일 전기차 경쟁 승자의 조건

미 정부와 연준의 모순과 밀월

▲ 대한경제 = 깡통위기 '홍콩 ELS', 실질적인 피해자 구제책 내놔야

외국인 인력 현장 활용 가로막는 제약 여전하다

▲ 디지털타임스 = 붕괴하는 청년인구…일자리·교육 연계 특구 주저할 시간 없다

민주, '이재명표' 포퓰리즘으로 예산 전횡…대선 불복 아닌가

▲ 매일경제 = 외국인 소득세 특례 일몰 위기…고급인재 유치 손 놓겠다는 국회

초진·약배송 허용 안된 비대면진료, 언제까지 반쪽운영 할텐가

'인사 잡음' 국정원, 이러다간 하마스 못 막은 모사드 꼴난다

▲ 브릿지경제 = '경제형벌' 개선 입법, 21대 국회에서 손 놓았나

▲ 서울경제 = 야권 내부서도 '파시즘' 비판받는 '개딸', 그대로 놔둘 건가

가업 승계·결혼자금 세제 완화, 총선용 편 가르기 사안 아니다

"호객 행위에 처벌"…과도한 경제 형벌 바로잡아 민간 활력 높여야

▲ 이데일리 = 내부 갈등으로 멍드는 국정원, 국가 안보 지킬 수 있나

예타 비웃는 野, 한술 더 뜨는 與…매표 짬짜미 아닌가

▲ 이투데이 = 금융당국이 은행을 이렇게 들볶아도 되나

▲ 전자신문 = 벤처기업 성장 지속 유도하려면

행정망 해법, '어떻게'에 집중할 때

▲ 파이낸셜뉴스 = 홍콩발 ELS 공포, 금융권 불완전 판매 관행 손봐야

부실기업 줄줄이 도산, 옥석 가린 구조조정 급하다

▲ 한국경제 = 대통령과 3시간 통화한다는 김기현 대표, 민심은 안 보이나

민주당도 가세한 상속세 개편 논의…이참에 확 뜯어고치자

급증하는 외국인 근로자와의 상생 로드맵 마련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