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장기화, 약업계 '불똥'…"매출·임상 차질 불가피"

진료 줄며 원내 의약품 매출 감소…일반 병원으로 영업 전환 모색
임상 시험 지연 우려도…의사·제약사 갈등 비화 우려에 '예민'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자 제약업계에서는 원내 처방 의약품 매출 하락, 임상 시험 환자 모집 감소 등 관련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전공의 파업으로 환자 진료·수술 건수가 줄어들며 항생제·수액제·주사제 등 원내 의약품 매출에 일부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의약품 영업·마케팅 전략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전문의약품이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 제약사 관계자는 "수술 환자가 줄어들다 보니 수액 등 원내 의약품 매출에 영향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당장 큰 타격은 없지만 장기화하면 2분기께 타격이 있을 수 있어 사태가 빨리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암 검사 등 고위험 질환에 대해 전공의들이 맡아온 역할이 크기 때문에, 전공의 파업으로 관련 환자가 감소할 경우 의약품 매출뿐 아니라 임상 시험 등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또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항암제 등 고위험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신약의 임상 시험은 광고 모집이 아닌 병원에 입원하거나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며 "입원 환자나 담당 의사가 줄어들면 임상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외국계 제약사 관계자는 "일부 암종의 경우 최근 한 달 새 대학병원에서 새롭게 진단받는 환자 발생 수가 종래의 절반 이하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며 "새 환자 진단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니 이들에게 처방·투약돼야 할 약의 매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백혈암 등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골수 검사가 필요한데, 그동안 이 같은 검사와 진단 영역에서도 대학병원 전공의들이 큰 역할을 해왔기에 이들이 떠난 사이 검사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이로 인한 여파가 환자와 제약사에도 미친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다만 의료 공백에 따른 매출 등 여파를 파악하는 것이 제약사 내부적으로 예민한 문제가 됐다는 시각도 있다.

 최근 의대 정원 증원 반대 의사 집회에 제약회사 영업직원을 강제로 동원했다는 의혹에 이어, 제약사 매출에 관한 정보가 자칫 또 다른 갈등으로 비화할지 우려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제약사 홍보 관계자는 의대 증원 사태에 따른 매출 변화 등과 관련해 "영업 직원이나 임상 부서와 소통하는 게 어려워졌다"며 "'제약 쪽 (직원)을 동원했네, 안 했네'라는 말이 나올 때부터 회사 상급자들도 이에 대한 얘기를 잘 안 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종합병원 대상 의약품 영업이 난항을 겪더라도 환자 입장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환자들의 치료가 미뤄지거나, 치료를 받아도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피해도 있지만 제약사가 아직 입장을 내거나 할 시기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