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깊숙이 스며든 인공지능 어떻게 봐야 할까…학술총서 출간

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 '인공지능인문학 학술총서' 5권 펴내

  우리 일상과 경제, 사회 전반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 인공지능(AI)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깊이 있게 들여다본 학술 총서가 나왔다.

 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는 인공지능과 관련한 학제적 연구를 정리한 '인공지능인문학 학술총서'(태학사) 5권을 출간한다고 29일 밝혔다.

 윤리, 소통, 데이터 해석, 기술 비평, 사회문화 등 관점에서 인공지능을 연구한 결과를 모았다.

 인간과 기계 사이의 소통을 다룬 '인공지능 관계소통학'에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화상 회의 플랫폼, 메타버스(metaverse·3차원 가상현실) 등 다양한 소통 창구와 방법을 조명한다.

 '인공지능 데이터해석학'은 인간과 AI가 소통하기 위한 인문 데이터의 의미를 짚으며, '인공지능 기술비평학'은 인공지능 기술과 사회, 사람을 함께 고려하는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

 사회와 문화 속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사회문화학'은 인공지능이 도입된 이후 기술 문화, 대중문화, 예술 및 시각문화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검토한다.

 출판사 측은 "인공지능은 하나의 유행으로 치부될 수 없는 '시대적 현상'이라며 "인공지능과 관련한 여러 현상뿐 아니라 인문학의 정체성과 의미를 함께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 인공지능 윤리규범학 = 김형주·허유선·김중권·심지원·엄주희·이연희 지음. 336쪽.

 ▲ 인공지능 관계소통학 = 이찬규·이유미·문혜진·박소영 지음. 264쪽.

 ▲ 인공지능 데이터해석학 = 강우규·남영자·정유남·조희련 지음. 216쪽.

 ▲ 인공지능 기술비평학 = 박상용·이기성·이정현 지음. 232쪽.

 ▲ 인공지능 사회문화학 = 박평종·황서이·문규민 지음. 256쪽.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119가 이송병원 선정하게 법 바꿔야"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를 막기 위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에 '환자 이송 허락'을 받는 관행을 없애고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법을 바꿔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지침의 쟁점과 실효성 확보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응급실 뺑뺑이는 119 구급대가 이송하는 환자를 응급실에서 받기 어려워 다른 병원으로 다시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상황을 뜻한다. 보고서는 "응급실 뺑뺑이의 실체는 119가 여러 의료기관에 전화를 걸어 이송할 곳을 찾는, 사실상 '전화 뺑뺑이'"라며 "응급의료기관의 수용능력 확인 절차가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사전 허락을 받는 절차가 돼 버렸다"고 짚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됐고 보건복지부는 개정 후속 조치로 지난해 4월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표준 지침을 배포했다. 지침은 응급의료기관이 병상 포화, 진단 장비 사용 불가, 모니터링 장비 부족, 중증응급환자 포화 등으로 1회에 한해 2시간까지만 수용 곤란 고지를 할 수 있도록 제한했지만 응급실 재이송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