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일 조간)

▲ 경향신문 = 북한 오물 풍선에 대북 확성기 논의, 강 대 강 대치만 할 건가

폭풍전야 전세는 무대책, 전세사기 처방은 땜질만

채 상병 수사 외압 사건의 본질은 '임성근 구하기'다

▲ 서울신문 = 종부세·상속세 완화로 경제 활력 불어넣길

AI전쟁 시대, 과감한 원전 확대 필요하다

북, 허튼 도발로 한반도 정세 흔들지 말라

▲ 세계일보 = 종부세·상속세 등 세제 보완하되 세수 확보 안도 내놔야

위법투성이 '김건희 종합특검법', 사법체계 허무는 발상이다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수순, 北 도발이 자초한 일이다

▲ 아시아투데이 = 北 저질 도발, 대북 방송 재개로 맞대응을

특검법보다 민생·경제법 처리가 시급하다

▲ 조선일보 = 초혼 4년 만에 최고치 "지자체 지원책 효과 냈다"

정치 장난 같은 엉터리 '김건희 특검법'과 '언론 징벌법'

北 도발 전제하고 대북 확성기 검토해야

▲ 중앙일보 = 기내식 한 끼에 44만원 … 의문투성이인 김정숙 인도 방문

'큰 싸움' 언급 의협, 엄포만으론 민의와 멀어질 뿐

▲ 한겨레 = 올해도 '세수 펑크', 재정 황폐화하는 감세 남발 멈춰야

여야 개원 즉시 "지구당 부활", 국민에겐 어떤 이득 있나

'채 상병 사건' 관여 인정한 '용산', 대통령 직접 수사해야

▲ 한국일보 = 연속 세수 펑크 확실한데 감세경쟁, 곳간 걱정은 뒷전

'대선후보' 이재명 위한 당헌개정, 국민이 납득하겠나

연령 가리지 않는 교제 살인, 특례법 외면할 일 아니다

▲ 글로벌이코노믹 = 반도체 기업 1분기 호실적 비결은

저출생 해법 정부·기업 공동 과제다

▲ 대한경제 = 원전과 신재생발전 확대로 무탄소에너지 시대 앞당긴다

수출 호조가 내수·일자리로 이어지는 선순환 정착시켜야

▲ 디지털타임스 = 印방문 기내식만 6292만원 탕진한 김정숙 여사, 즉각 조사하라

北의 저급한 '오물 투척' 도발… 정부, 비례대응원칙 지켜야

▲ 매일경제 = 北 오물 풍선 또 살포, 정상 국가라면 대화로 문제 풀어야

국회 법사위에 '대장동 변호사들'… 李 방탄용 아닌가

대통령실 "종부세 폐지가 바람직"… 與野 세제개편 당장 나서길

▲ 브릿지경제 = 플랫폼법 재추진 자체를 원점 재검토해야 한다

▲ 서울경제 = 반도체·車 쌍끌이 수출 훈풍…품목·시장 다변화 뒷받침 서둘러라

'합의 정신' 무시한 상임위 독식, 입법 폭주 악순환 반복할 건가

'시한폭탄 금투세' 전면 재설계 없이 증시 레벨업 어렵다

▲ 이데일리 = 북한의 잇단 오물 풍선 도발, 무기화 가능성 대비해야

탄력받는 종부세 폐지 논의, 협치 선례 삼을 만하다

▲ 이투데이 = 달에 '창어 6호' 보낸 中, 우주청 반쪽 출범한 韓

▲ 전자신문 = 풀뿌리 금융규제 혁파해야

▲ 파이낸셜뉴스 = 종부세 등 개편 논의 고개, 부작용 없게 신중히

전력 소비 급증에 원전 4기 건설, 野 반대 말라

▲ 한국경제 = 北, 또 오물 풍선 … "감내하기 힘든 조치" 빈말에 그쳐선 안된다

국내 주식 비중 줄이는 국민연금, '꼴찌 수익률' 구조도 혁신해야

종부세 폐지·상속세 완화, 국회에서 제대로 붙어보라

▲ 경북신문 = 22대 국회, 고준위 특별법 희망이 보인다

▲ 경북일보 = 9년 만의 친원전…경북 원전 산업화 힘써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