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앱으로 수면무호흡증 진단하는 기술 개발"

복부에 센서 부착해 AI 기반 분석…식약처 인허가 획득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5일 UNIST에 따르면 전기전자공학과 변영재 교수 연구팀은 전자기파 기반의 센서를 이용한 복부 부착형 수면무호흡증 진단 시스템을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했다.

 기존에 수면무호흡증 검사를 받으려면 수면센터나 병원에서 여러 센서를 부착하고 잠을 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센서 작동에서부터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까지 전 과정이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기술이다.

 해외 업체의 앱이 수면 중 녹음된 소리만으로 수면 질환 유무를 판독하는 것과 달리 수면무호흡 여부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연구팀은 기술 개발 7개월 만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를 획득했다.

 일반적으로 진단 보조 의료기기의 인허가에 걸리는 1년 6개월보다 신속하게 심사 절차가 완료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변영재 교수는 "연구의 목표는 첨단 바이오 센서를 통해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라며 "이번 식약처 승인은 우리의 기술력이 공인된 중요한 계기"라고 말했다.

 변 교수가 창업한 UNIST 기술창업기업 에스비솔루션이 이번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