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에 30년 뒤 인구 매해 1%씩 감소…100년 뒤 2천만명 하회

모든 시도 인구감소 가속…30년뒤 시도별 사망자, 출생아의 최대 6배

  저출생·고령화에 30년 뒤 우리나라 인구가 매해 1%씩 감소해 약 100년 뒤에는 2천만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30년 뒤 경북은 사망자 수가 출생아의 6배가 넘는 등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연감소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통계청이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전망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54년 전국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년보다 1.03%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 감소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은 저출생·고령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가 빠르게 늘면서 인구가 매해 자연 감소하는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가령 경북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1만1천명, 사망자 수가 2만6천명으로 인구가 1만5천명 자연 감소했다.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는 해당 연도 7월부터 다음 연도 6월까지의 추계치를 의미한다.

 30년 뒤 2052년에는 경북의 출생아 수가 7천명, 사망자 수가 4만4천명으로 인구가 3만7천명 감소한다.

 사망자 수는 출생아 수의 6.3배에 달했다.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격차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를 특정 연도 인구로 나눈 자연증가율도 경북이 2022년 -0.57%에서 2052년에는 -1.71%로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기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7만4천명, 사망자 수가 7만8천명으로 자연감소 규모가 4천명에 그쳤으나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6만2천명, 사망자 수가 18만6천명으로 인구가 12만4천명 감소한다.

 경기의 인구 자연감소 규모가 30년 뒤 31배로 커지는 셈이다.

 2022년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3천명)가 사망자 수(2천명)를 웃돈 세종도 2045년부터 인구가 자연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됐다.

 [표] 2022∼2052년 인구 자연증가 규모 추이 (단위: 천명)

 

연도 2022 2032 2042 2052
전국 -114 -160 -311 -512
서울 -12 -14 -35 -64
부산 -13 -18 -27 -36
대구 -7 -9 -15 -23
인천 -5 -7 -17 -32
광주 -2 -3 -7 -12
대전 -1 -3 -6 -12
울산 -1 -3 -8 -12
세종 1 2 1 -2
경기 -4 -17 -61 -124
강원 -7 -9 -14 -22
충북 -5 -7 -12 -20
충남 -8 -9 -16 -26
전북 -10 -11 -15 -22
전남 -12 -13 -17 -24
경북 -15 -18 -26 -37
경남 -12 -18 -29 -40
제주 -1 -1 -4 -6

 

※ 자연증가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료: 통계청 2022∼2052년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국내 및 국제 이동까지 고려한 인구성장률은 2039년 경기가 -0.01%를 기록하면서,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로 돌아선다.

 2052년 기준 인구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으로 -1.54%로 예상됐다.

 세종은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지만, 인구 유입으로 2052년 인구가 0.3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2022년 인구성장률(5.20%)에 비춰보면 크게 둔화한 수치다.

 현재의 저출생·고령화 추이가 계속된다면 모든 시도가 '인구 소멸'을 걱정하는 처지가 된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2052∼2122년 시도별 장기추계에 따르면 약 100년 뒤인 2122년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국 인구가 1천936만명으로 2천만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은 2052년 54만명에서 2122년 28만명으로 감소한다.

 2052년 1천381만명으로 유일하게 1천만명을 웃돌았던 경기는 2122년 603만명으로 1천만명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