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어린이 비만 5년 새 4배 증가, 한국의 미래가 병들고 있다

글로벌 대기업도 손 뗀 '동해 광구', 하나부터 열까지 의혹

대북전단 보낸 날 대통령은 "힘으로 평화", 충돌 조장하나

▲ 서울신문 = 열에 일곱 명 '학원 뺑뺑이'… 아이가 못 웃는 사회

'면죄부' 받고는 1000억 소송 의사들, 염치도 버렸나

우 의장, 타협 정신 깨면 '의회 독재 주도' 오명 쓸 것

▲ 세계일보 = 尹 "유공자 예우하겠다"면 6·25 참전용사 수당부터 올리길

"韓, 우크라에 무기 제공 안 해 감사" 푸틴 노림수 경계해야

참신한 인물 발탁 안 하면 개각한다고 국정 쇄신되겠나

▲ 아시아투데이 = 영일만 시추, 야당 비판·폄훼 너무 지나치다

민주당, 아예 사법부 위에 군림하려 하나

▲ 조선일보 = 치약·칫솔도 사비로 구입한다던 文의 기내식 변명

이재명 "영일만 석유, 십중팔구 실패", 그래서 하지 말자는 건가

대통령은 "강한 나라 만들자"는데 초급 간부 떠나는 軍

▲ 중앙일보 = 모호한 사업성에 정치 셈법 대상 돼 가는 동해 유전

'언론 징벌적 손배' 재탕 추진, 의도부터 의심스럽다

▲ 한겨레 = 유엔도 우려한 성평등 퇴행, 여가부 장관 임명해야

굴지 업체는 철수, '석유 시추' 국민적 의문부터 풀어야

대북전단-오물풍선 악순환, 정부 방조가 위기 부른다

▲ 한국일보 = 아파트 전세 오르자 집값도 들썩, 단기 안정책 서둘러야

'힘에 의한 평화' 현충일 추념사… 더 높은 전략 요구되는 현실

총리 유임에 부분 개각… 이 정도로 '국정동력' 생기겠나

▲ 글로벌이코노믹 = 지연

▲ 대한경제 = 민자사업 취득세 감면 연장해야 실물경기 위축 막는다

예고된 중폭 개각, 만기친람 바꿀 책임장관 적임자 발탁해야

▲ 디지털타임스 = 액트지오 대표 회견, 솔직한 설명으로 동해유전 논란 없애야

가족에겐 관대, 순국자에겐 가혹… 볼썽사나운 文의 처신

▲ 매일경제 = 국격 떨어뜨리는 디올백·기내식 특검 모두 부적절하다

尹 "우리 힘 강해져야 北 변화"…대화 물꼬도 터야

기후재앙 가속화, 탄소배출 없는 '인공태양' 선점을

▲ 브릿지경제 = '대왕고래 사냥', 그래도 봐야 할 건 경제적 가치다

▲ 서울경제 = 30년 뒤 인구 1%씩 감소…與野 저출생 해법 협치 모범 보여라

'반쪽 출발' 국회, 상임위 '안배' 접점 찾고 경제 살리기 입법 나서야

中 전기차 국내 상륙 임박, 시장 방어 위해 노사정 힘 합칠 때다

▲ 이데일리 = 정부 상대 손배소송 으름장… 의료계, 적반하장 아닌가

일본 제친 1인당 GNI… 지속가능 성장 계기 삼아야

▲ 이투데이 = '1.5도 확률 80%' 기후 경고에 親원전 대응을

▲ 전자신문 = '국내 대리인 지정제도' 서둘러야

▲ 파이낸셜뉴스 = 신경영 31년 기로의 삼성, 노조도 힘 보태야

한국은 반도체·AI 주도권 자신할 수 있나

▲ 한국경제 = 中 물량 공세에 밤에만 공장 가동, 철강만의 일 아니다

개원부터 파행 22대 국회, 의장이 '여야 협력' 중심 잡아야

스타트업 3곳 중 2곳이 규제에 질식당하는 현실

▲ 경북신문 = 대구경북행정통합 속도 낸다

▲ 경북일보 = 댐 취수구 잠수부 숨지는 사고…벌써 몇 번짼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객실 양쪽 끝 2~4도 차이":…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냉방 팁 공개
서울교통공사가 20일 여름철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공사에 따르면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로, 체감 온도 상태에 맞춰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의 차이가 나며 승객이 많은 경우 최대 6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 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 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공사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인 '또타지하철'에서는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열차가 혼잡하면 객실 온도가 오르기 때문에 혼잡도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소소한 팁이라고 공사는 전했다. 한편 열차 승무원들은 평년보다 일찍 시작된 더위로 냉난방 불편 민원이 크게 늘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전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가동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