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 경향신문 = 전국이 놀란 부안 4.8 지진, '최악 대비' 국가 방진체계 짜야

중재·대화 없이 악화일로, '의·정 대치 115일'이 말하는 것

채 상병 특검법 국회 상정, 총선 민심대로 진상 빨리 밝혀라

디지털 강국이라는데 디지털 약자 대책은 미흡

▲ 서울신문 = 들썩거리는 전세, 임대차법 개정 적극 검토해야

'정청래 법사위' 독주, 총선 민심 아니다

이재명 추가 기소… 신속재판만이 헌정 혼란 막는다

▲ 세계일보 = 전국 흔든 부안 4.8 지진, 강하고 잦아지니 철저 대비를

與 대표 경선에 '민심' 반영, 무기력 벗고 쇄신하는 계기 돼야

대북송금 기소된 李, 법원 겁박 말고 엄정 판단 기다릴 때다

▲ 아시아투데이 = 국민의힘, 野 폭주에 단식·삭발 나설 결기 없나

이재명 추가 기소…법원은 신속하게 재판해야

▲ 조선일보 = 저출생 예산 47조 중 절반이 무관, 전면 재조정 검토를

평양 간다는 푸틴, '레드 라인' 넘지 말라

李 대표 재판 대선 前 확정으로 정치 사회 불확실성 없애야

▲ 중앙일보 = 벼랑 끝 중기·자영업 … 막힌 최저임금 숨통부터 뚫어 보자

4개의 '이재명 재판', 판결 늦어지면 대혼란 빠질 수도

▲ 한겨레 = 미 대사도 '남북 긴장' 우려, 정부 '전단 단속' 나서라

명분 없는 휴진, 그 피해는 또 환자들이 떠안아야 하나

'명품백', 외국인 선물이라 대통령 조사 안했다는 권익위

▲ 한국일보 = 구조개혁 절박성 일깨운 한은 총재, 정부·정치권 반성해야

'안전지대' 호남 내륙에 4.8 강진… 단층도 모른다니

4개 재판 받게 된 李대표… 법원, 혼란 없게 신속한 판단을

▲ 글로벌이코노믹 = AI폰 시장 판도 바꿀 애플의 도전

서울 오피스 가격 상승률 글로벌 1위

▲ 대한경제 = 동력 잃은 위례신사선, 재정사업 전환 추진하라

부안서 올해 최대 지진, 지진대비 시스템 점검 계기돼야

▲ 디지털타임스 = 막말 쏟아내는 의협 회장… 의사인가, 선동가인가

국민 갈라놓는 李 재판 지연, 법원 빨리 결론 내 갈등 줄여야

▲ 매일경제 = '쪼개기 알바' 급증 부른 주휴수당 과감히 폐지해야

이재명 불법 대북송금 기소, 이화영 유죄 판결의 당연한 귀결

巨野 상임위 단독가동해 특검법 상정, 거부권 명분만 키울 뿐

▲ 브릿지경제 = 5월 고용률에서 더 비중있게 봐야 할 '청년 고용'

▲ 서울경제 = '대북 송금' 이재명 기소, '檢 창작' 둘러대지 말고 진실 밝혀라

'환갑 축하금'까지 달라는 노조…이러니 기업들 해외로 떠난다

실업자 증가 쇼크, 기업 활력 높여 일자리 안정 찾아야

▲ 이데일리 = 치솟는 외식 물가… 삼겹살 외식 한 번도 겁날 정도라니

득보다 실 큰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역기능 따져는 봤나

▲ 이투데이 = 산으로 가는 밸류업…상법 개정에 신중히 임해야

▲ 전자신문 = AI인력 양성은 시대적 과제다

▲ 파이낸셜뉴스 = 부안서 규모 4.8 지진, 재난 대응책 재점검을

野 브레이크 없는 폭주 당장 멈추라

▲ 한국경제 = '이사 역할' 변경 꾀하는 상법 개정안, 전형적 소탐대실이다

李대표 대북 송금 기소, 엄정·신속한 재판 중요해졌다

다수당이면 아무 법이나 만들 수 있다는 건가

▲ 경북신문 = 신공항, 박정희 공항 명명 촉구… 왜?

▲ 경북일보 = 고금리 부채 짊어진 청년 보호대책 필요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객실 양쪽 끝 2~4도 차이":…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냉방 팁 공개
서울교통공사가 20일 여름철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공사에 따르면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로, 체감 온도 상태에 맞춰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의 차이가 나며 승객이 많은 경우 최대 6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 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 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공사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인 '또타지하철'에서는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열차가 혼잡하면 객실 온도가 오르기 때문에 혼잡도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소소한 팁이라고 공사는 전했다. 한편 열차 승무원들은 평년보다 일찍 시작된 더위로 냉난방 불편 민원이 크게 늘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전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가동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