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기피증까지…땀이 줄줄 '다한증' 치료법은

 요즘처럼 날씨가 더울 때 땀이 많이 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인데요.

 하지만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는데도 땀이 과다하게 난다면 '다한증'일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체온이 올라가면 땀샘에서 땀을 분비하는데요. 그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이 떨어지게 됩니다.

 심할 경우 악취나 각종 피부질환이 나타나고, 대인관계 기피증이나 우울증으로 이어지기도 하죠.

 다한증은 특별한 기저 질환이 없는 '원발성'과 다른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속발성'으로 나뉩니다.

 원발성은 온도 상승이나 활동량 증가보다는 정신적으로 긴장할 때 나타나는데요.

 주로 두피, 손바닥, 겨드랑이, 발바닥 등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죠.

 또 어릴 때 발생해 사춘기가 되면 심해졌다가 점차 나아지는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속발성은 갑상샘 기능항진증, 결핵, 당뇨병과 같은 질환에 의해 나타나는데요.

 원발성과 달리 전신에서 많은 땀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 질환이 있기 때문에 해당 질환을 우선 치료하는 게 중요하죠.

 일반적인 다한증에는 약물, 주사 치료 등 비수술 치료가 먼저 진행되는데요.

 원인을 제거하기보다 증상을 치료하면서 호전되기를 기대하는 치료법입니다.

 약물 치료 이외에도 전류로 땀구멍을 막는 치료, 보톡스 치료법 등이 있습니다.

 비수술 치료가 효과가 없다면 수술 치료를 진행하는데요.

 수술은 겨드랑이 부근을 5mm 정도 절개한 후 흉부교감신경을 잘라내는데, 수술 시간이 짧고 흉터가 거의 남지 않습니다.

 하지만 수술 부위 이외에서 땀 분비가 증가하는 '보상성 다한증'이 나타날 수 있어 의사와 상담 후 예측 시술을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정진용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흉부교감신경 절제술은 절단 부위가 위로 갈수록 보상성 다한증이 심하고, 아래로 갈수록 경미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면서 "치료 효과도 손보다 얼굴에 좋은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한증 증상을 줄이기 위해선 평소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성수 강남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얼굴, 머리 다한증은 유독 뜨거운 음식이나 매운 음식을 먹을 때 땀이 많이 나는 분들이 많아 그런 음식을 조절해야 한다. 또 체중이 늘거나 비만이면 땀이 많이 나기 때문에 체중 조절과 운동이 중요할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다음 팬데믹은 변종 독감"…질병청, 대유행 대응계획 개정 추진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 초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심포지엄을 지난 20일 오후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호텔에서 열었다. 이 계획은 매년 발생하는 계절 인플루엔자(독감)가 아닌, 신종 또는 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이다. 지난 2006년 제정된 뒤 2011년과 2018년 두차례 개정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반영해 6년 만에 이 계획의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질병청은 개정 목표를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쪽으로 잡고 유행 정점기를 최대한 지연시켜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중증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前)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탐지하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판별하는 한편, 백신 개발을 100~200일로 단축하고 '원헬스(사람·동물·환경의 건강을 균형 있게 조정하고 최적화) 전략'을 통해 인수공통감염을 공동감시하는 것을 중점 과제로 잡았다. 세부 계획으로는 ▲ 변이바이러스를 신속히 확인하는 검사법 개발 ▲ 초기 6개월 대응 가능한 치료제·방역물자 사전 비축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극심한 신경병증성 통증 원인은 별세포 신경전달물질 과분비"
국내 연구진이 경미한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신경병증성 통증이 척수에서 비신경세포인 반응성 별세포(astrocyte)가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를 과도하게 생성, 분비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남민호 박사팀은 22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형일 교수팀과 공동연구로 별세포가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는 핵심 기전을 새로 규명하고 이를 통한 맞춤형 치료 및 모니터링 표적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옷에 쓸리는 정도의 자극에도 불에 타는 듯한 극심을 통증을 느끼는 경우로,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고 10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지만,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척수에서 통증 신호의 전달이 과도하게 민감해지는 '중추 민감화' 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분자 수준의 원인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경병증성 통증 생쥐 모델 실험을 통해 척수에 있는 반응성 별세포가 일반적으로 주변 신경세포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GABA를 과도하게 생성 분비하는 것이 병리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별세포에서 GABA가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개발·연구 속속 손잡는 제약업계 …"같이 합시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협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등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각자 확보한 기술 등 장점을 최대한 결합해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에서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및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계획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사용되는 '링커' 제조 공정을 공동 연구하고 이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및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