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의대생 전격 복귀 결정, 의료·교육 정상화 첫발 되길

장관 인사청문회, 의혹 규명·결격 판단은 국민 눈높이로

막 오른 인사청문회, 부적격 후보들까지 안고 가선 안 돼

▲ 동아일보 = 17개월 만에 의대생 전원 복귀… 무엇보다 정상화가 먼저

김태효 "尹 격노 맞다" 이제야 실토… 이런 사람이 실세였으니

강훈식 "대통령 눈 너무 높다" … 李 이런 말들엔 귀 꽉 닫아야

▲ 서울신문 = 맹탕 될 청문회… 중요한 건 "대통령 눈" 아닌 국민 눈높이

"반대, 반대"만… 이러면 윤희숙 혁신위 좌초도 시간문제

'특혜' 빚 독촉하듯… 국민 사과는 할 줄 모르는 의대생들

▲ 세계일보 = 의대생 조건부 전원 복귀 선언, 이제 의료 정상화해야

후보자들 의혹 논란인데 "대통령님 눈이 너무 높다"니

'VIP 격노설' 시인한 김태효… 특검, 진상규명 속도 내길

▲ 아시아투데이 = 의대생 이어 전공의도 복귀해 의료정상화 힘써야

여야, 외국인 부동산 취득 제한 발의 이유 있다

▲ 조선일보 = 점점 단단해지는 北·중·러 결속, 韓은 미·일과 다른 목소리

"1명이라도 낙마하면 대통령 타격"이라는 착각

"언제까지 사과하냐" 반발, 국힘 제대로 사과한 적 있었나

▲ 중앙일보 = 부적격 장관 후보 비판 여론에 귀 기울여야

의대생 복귀 다행이지만 사과·재발방지 필요하다

▲ 한겨레 = 김태효 '윤 격노' 실토, 유족·국민 속인 인면수심 정권

의대생 복귀, 교육 정상화 힘쓰되 과도한 특혜 없어야

집값·대출 상승세 둔화, 경기회복 위해서도 지속돼야

▲ 한국일보 = 인사청문회 슈퍼 위크 '따지지마, 묻지마 임명' 안 된다

친윤, 인적 쇄신 계속 거부하면 국민의힘 궤멸한다

돌아갈 테니 길 열라는 의대생들… 또 '특혜 봉합'은 피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인센티브형 최저임금제 논의할 때

반도체 산업 경쟁력 이대로 괜찮나

▲ 대한경제 = 김윤덕 국토부장관 후보자 어깨 무겁다

주택도시기금, '수요자 대출'에서 '공급자 중심'으로 복귀해야

▲ 디지털타임스 = 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 이제 醫·政이 함께 미래 그려야

인사청문회 수퍼위크… 통과 의례 아닌 '송곳 검증' 장 되길

▲ 매일경제 = 더 센 상법 기업경쟁력 외면한 채 밀어붙일 일 아니다

'장관후보 전원 통과' 무리수, 李정부 지지율만 깎아먹을 뿐

의대생 복귀선언… 전공의도 동참해 의정갈등 종식을

▲ 브릿지경제 = 폭염이 끌어올린 먹거리 물가 낮출 방안 있나

▲ 서울경제 = "기존 자사주도 강제 소각"…경영권 위협 없게 상법 숙의해야

의대생 복귀 선언, 필수·지역 의료 강화 등 해법 대화로 찾아라

장관 청문회, '맹탕' 지적 없게 국민 눈높이에서 엄정 검증해야

▲ 이데일리 = 진척 더딘 한미 관세협상, 최우선 과제로 역량 쏟아야

인사청문회 주간, 국민 눈높이·상식 존중 시간 되길

▲ 이투데이 = 무너지는 재정준칙…재정위기 대비해야

▲ 전자신문 = 게임업 대리인 기준 명확해야

▲ 파이낸셜뉴스 = 위기의 제조업, 투자 되살릴 특단 대책 있어야

의대생 복귀 선언, 정상화 서두르되 개혁 후퇴는 안돼

▲ 한국경제 = 시장 교란 우려 큰 외국인 부동산 매입에 '상호주의' 적용해야

삼겹살 이벤트도 좋지만, 자영업 정책 엇박자 조율부터

의대생 전격 복귀 환영하지만 더 이상 특혜는 안 된다

▲ 경북신문 = 한국, 세계 'AI 3대 강국'으로 간다

▲ 경북일보 = 장관 후보, 얼마나 흠결 있어야 문제되나?

신공항·APEC, TK 사업 국정과제에 반영해야

▲ 대경일보 = TK 균형발전 없으면 민생회복도 없다

성폭력 무고, 또 다른 피해를 낳는 범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먹는 코로나 치료제 약국 재고 점검…"개선 모색"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중 하나인 '팍스로비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질병관리청이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임숙영 차장이 6일 서울시 소재 조제약국과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해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중증 환자 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다. 질병청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약국 등에 공급하다가 지난 6월부터 약국 및 의료기관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는 시중 유통체제로 전면 전환됐다. 환자 본인 부담금은 한 팩(30정)에 4만7천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비용까지 합산하면 약값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약이다. 현행 체제에선 약국이 먼저 제약사에 약값을 지불한 뒤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실제로 약이 판매되면 환자와 공단에 약값을 청구해서 받아야 한다. 약이 팔리지 않으면 제약사에 반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워낙 약값이 비싼 탓에 애초에 물량을 많이 구비해두는 약국이 적은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이 경우 환자가 조금만 늘어도 금방 재고가 동날 수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