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망설이는 이유 1위 비용…절반은 '덤핑치과' 몰라"

의학바이오기자협회, 성인 1천227명 대상 임플란트 인식 조사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임플란트 가격은…"50만∼60만원" 수준

 임플란트 치료를 망설이는 이유로 국민 10명 중 4명은 '비용'을 꼽았다.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임플란트 비용은 개당 50만∼60만원 선이었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지난 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성인 1천227명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치료와 비용에 대한 국민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결과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KAOMI)의 공동 주최로 24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초고령 사회, 임플란트 치료 바로 알기'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조사 결과 임플란트 치료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으로 응답자 67.2%가 병원의 신뢰도를 꼽았다.

 이어 시술하는 임플란트의 브랜드가 16.7%, 비용이 15.9%였다.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임플란트 치료를 받았다고 대답한 793명을 대상으로 치아 기능에 대해 만족하느냐고 묻자, 매우 만족(21.7%)과 만족(48%)이라는 응답이 과반이었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적정 임플란트 개당 가격은 50만∼60만원으로, 통상 치과 병의원에서 책정하는 130만원과 큰 차이가 났다.

 50만∼60만원이 적절하다는 응답자가 40.8%로 가장 많았고, 40만원 이하는 28.1%, 70만∼90만원은 21.8%였다.

 100만∼120만원은 7.9%, 130만원 이상은 1.4% 등 100만원 이상이 적절하다는 응답자는 10%가 채 되지 않았다.

 비정상적으로 저렴한 과격을 과대 광고하는 '덤핑치과', '덤핑임플란트' 등과 관련한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지만, 국민의 절반 이상은 이러한 치과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2.9%는 덤핑치과나 덤핑임플란트에 대해 들어보지 못했다고 답했다.

 치과계에서는 덤핑치과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낮은 데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치과계는 덤핑치과가 과도한 환자를 유인한 뒤 질 낮은 재료를 이용하는 등 수준 이하의 진료나 과잉 진료 등을 벌일 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환자를 대거 끌어들인 뒤 선금을 받고 폐업하는 '먹튀'로 환자에게 금전적 손해를 끼칠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설문에서 덤핑치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임플란트 치료 방법과 적정 비용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45.7%로 가장 많았다.

 또 기관·단체에서 인증하는 전국 '착한 치과' 정보 공개도 18.9%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태영 대한치과의사협회 홍보이사는 "최근 저가 임플란트를 광고하며 환자를 유인하는 불법 의료광고가 증가해 소비자 피해는 물론 치과 신뢰도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며 "불법 행위 단절을 위해 치협에서 상습적으로 불법 의료광고를 반복하는 치과를 고발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암 진단은 물론 치료, 면역 반응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항암 치료에 쓰이는 기존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은 암 조직뿐만 아니라 정상 조직에까지 손상을 가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지름 1∼100(㎚·10억분의 1m) 크기 나노물질은 암세포와 병변 부위를 정밀하게 표적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는 뛰어난 차세대 암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표준연 나노바이오측정그룹은 암 부위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치료하고, 면역 반응 체계도 활성화할 수 있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금 사이에 철을 넣은 나노디스크(나노 원형 형태) 형태의 삼중 층 구조로, 종양 부위에 자석을 대면 철의 자성으로 인해 나노물질을 쉽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광음향 영상(조직에 레이저 빛을 쪼여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해 조직 내부의 정보를 얻는 영상 기법) 기능을 탑재해 종양의 위치와 물질의 전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종양 부위에 나노입자가 축적되는 과정을 추적,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이 물질을 투여한 뒤 6시간 지난 시점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