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양육가정이 가장 바라는 지원은 '자녀돌봄'"

인구보건복지협회 설문조사…심리상담·코칭, 장학금 등 뒤이어

 쌍둥이 양육자들이 지원 기관에 가장 바라는 서비스는 장학금 지원이나 부모 교육보다는 '자녀 돌봄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6일까지 임신부를 포함한 쌍둥이 부모 1천275명을 대상으로 쌍둥이 임신·육아에 대한 생각과 지원 방안을 조사한 설문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협회가 구축 예정인 '쌍둥이 양육가정 지원 기관 네트워크'에 바라는 서비스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19.4%는 '쌍둥이 자녀 돌봄 지원'을 꼽았다.

 쌍둥이 양육자들의 85.6%는 쌍둥이 임신·육아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답했다.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은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로 '한 번의 임신·출산으로 두 자녀 이상을 만날 수 있다는 점'(30.7%)을 들었다.

 두 번째로 많이 나온 응답은 '아이에게 하나뿐인 동갑의 형제를 만들어줄 수 있음'(24.2%)이었다.  그 외 '쌍둥이 임신·육아 지원 혜택이 많기 때문'(16.1%)이라는 답도 나왔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이들은 그 이유로 '출산 후 육아에 대한 부담'(3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단태아에 비해 유산·사산·조산 등의 위험성이 높음'이라는 응답 비율은 22.8%였다.

 이어 '미숙아 출산 등 아이 건강에 대한 걱정'이 15.5%, '임신 기간 중 잦은 검사비 지출의 경제적 부담'이 13.4%였다.

 쌍둥이 양육자들의 94.7%는 "단태아 가정보다 쌍둥이 가정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응답자의 26.5%가 '경제적 비용 부담'을 들었으며, 22.9%는 '육체적 피로', 16.7%는 '정신적 스트레스', 10.7%는 '경력단절'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다양한 기관·전문가가 상호 협력하는 '쌍둥이 양육가정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해 쌍둥이 부모와 자녀의 특수한 상황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들을 지원해 쌍둥이 양육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생애 마지막 돌봄' 강화…서울시, 호스피스 병상 대폭 늘린다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가운데 서울시가 말기 환자 돌봄 수요에 대응하고 존엄한 생의 마지막을 돕기 위해 호스피스 병동 확충에 나선다. 서울시는 서울시립 북부병원(중랑구 망우동) 호스피스 병상을 기존 25병상에서 54병상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기존의 일반 병동 1개를 전면 리모델링해 호스피스 전담 병동 29병상을 추가로 확보했다. 서울시 북부병원은 1·4인실, 임종실 등으로 구성된 25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해왔으나 이번 리모델링을 통해 2·3인실 등 다양한 병실 형태를 확보하게 됐다. 이로써 시가 운영 중인 시립병원에는 총 145개 호스피스 병상이 확보됐다. 시는 이번 북부병원을 시작으로 서북병원 등 시립병원 전반에 걸쳐 79개 병상을 추가로 확보해 2027년까지 총 224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공공병원 호스피스 병상 확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문인력 구성, 심리·정서 지원, 가족 돌봄교육 등을 포함하는 통합형 완화의료 시스템을 제공하고 전 생애를 아우르는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