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폭염일수, 30년간 2배로 증가…일 최고기온은 1.7도 올라"

수원시정연구원, 기상청 자료 분석 결과…市, 폭염대책TF 운영

 지난 30년간 경기 수원 지역의 폭염일수가 2배가량 늘어났으며, 일 최고 기온은 1.7도 올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수원시정연구원은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을 토대로 지난 30년간(1994∼2023) 수원시 폭염 및 최고기온 추이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수원의 폭염일수는 166일로 나타났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의 폭염 일수는 94일이었다.

 지난 30년간 수원의 전체 폭염일수 348일 중 약 48%가 지난 10년 동안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6월은 한 달간 폭염일수가 2일이었는데, 이는 지난 30년간 수원시 평균 6월 한 달 폭염일수 전체 평균인 0.3일의 6배에 달한다.

 기온이 35도를 넘어선 날은 1994∼2003년 13일에서 2014∼지난해 55일로 3.2배 늘었다.

 최근 10년간 수원시의 일 최고기온 평균은 36도로, 1994∼2003년 34.3도 대비 1.7도 상승했다.

 지난 30년간 수원시의 7∼8월 폭염일수는 7월 22일부터 8월 15일 사이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의 폭염일수는 232일로, 지난 30년간 7∼8월 전체 폭염일수 335일의 약 69%를 차지했다.

 한편, 수원시는 오는 9월 30일까지 폭염대책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본격적인 폭염 대응 체제에 들어간다.

 시는 폭염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폭염 재난도우미로 하여금 전화·방문해 안전을 확인하도록 했다.

 이밖에 경로당 등 무더위 쉼터 497개소 정비, 냉방비 지원, 그늘막 791개소 등 폭염 저감 시설 및 추가 설치 지원, 노면 빗물 분사 시스템 및 노면 살수를 이용한 열섬현상 완화 등 조치를 시행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