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크는 콜라겐 시장…"2030년까지 10조원대"

건강기능식품·약물 전달 시스템 등 개발에 속속 활용

 '먹는 화장품'으로 불리는 콜라겐 시장이 2030년 74억 달러(약 10조2천억원) 규모로 성장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의 추산에 따르면 지난해 51억 달러(약 7조원) 규모였던 세계 콜라겐 시장은 2030년에는 약 74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 기간 연평균 5.3%씩 성장한다는 이야기다.

 콜라겐은 피부, 혈관 등 결합조직에 있는 단백질로 체내 단백질의 25∼35%를 차지한다. 피부나 혈관 등의 회복을 돕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제약업계가 약물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이 물질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점 역시 고성장의 요인으로 꼽힌다.

 콜라겐은 생체적합성 등 특성을 지녀 마이크로 니들(주로 붙이는 형태의 미세 바늘)을 비롯한 약물 전달 기술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한국에서도 콜라겐 시장은 건강기능성식품 수요 등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국내 콜라겐 시장이 2016년 약 222억원에서 연평균 31%가량 성장해 2022년에는 약 1천140억원 규모로 커졌다고 집계했다.

 특히 콜라겐 펩타이드 시장의 성장은 더욱 가팔라 같은 기간 약 51억원에서 연평균 약 60% 성장하면서 815억원 규모까지 커졌다.

 다만 이는 일반 식품과 건강기능성식품에 활용되는 젤라틴 및 콜라겐 펩타이드 시장만 파악한 규모다.

 화장품, 약품 등에 쓰이는 콜라겐 시장 규모는 제외됐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콜라겐을 함유한 건강기능성식품 등 제품은 이전부터 꾸준한 수요를 유지해왔다"면서도 "관련 시장 경쟁이 치열해 차별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성분명처방·한의사 X레이·검체검사 개편 총력 저지"
대한의사협회는 성분명 처방과 한의사 X레이 사용 허용, 검체검사 위수탁제도 개편을 저지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의협은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국민 건강권을 파괴하는 모든 시도를 전면 거부한다"며 이들 법안 등의 폐기와 백지화를 촉구했다. 의협은 결의문에서 "성분명 처방 강제화는 환자의 생명을 담보로 한 무책임한 실험"이며 "한의사 X레이 허용은 면허 제도의 파국"이라고 주장했다. 또 "검체수탁고시의 왜곡된 시행은 필수 의료 시스템을 교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분명 처방은 의사가 의약품 상품명 대신 성분명으로 처방하면 약사가 해당 성분의 의약품 중 하나를 택해 조제하는 것으로, 보건복지부는 수급이 불안정한 필수의약품에 한해 성분명 처방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한의사 X레이 사용의 경우 최근 여당 의원들이 이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발의하며 논의에 불을 붙였다. 아울러 정부는 검체검사 위탁기관(병의원)에 지급해온 위탁관리료를 폐지하고, 위탁기관과 수탁기관(검사센터)이 검사 비용을 각각 청구하도록 제도 개편을 추진 중이다. 의협은 이들 정책을 "의료 붕괴를 초래하는 3대 악법·악행"이라고 지칭하며 "모든 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