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억제했더니…수명 20% 이상 증가"

싱가포르 연구팀 "항IL-11 치료, 수명 연장 효과…사람 적용 가능성"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중 하나가 노화와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험 결과 이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면 늙은 쥐의 건강이 개선되고 수명이 20%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국립대 스튜어트 쿡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염증을 매개하는 신호 단백질 중 하나인 'IL-11'의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약물로 억제하는 생쥐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생쥐에서 확인된 IL-11 억제의 건강 효과가 사람에게도 적용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현재 IL-11 억제가 섬유성 폐 질환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초기 단계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 결과 생쥐에서 노화가 진행될수록 IL-1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L-11 수치가 증가하면 노화와 관련된 신호 경로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년기 생쥐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IL-11 유전자를 제거하자 신진대사 저하와 다양한 질병, 허약성 등 노화 징후가 예방됐으며, 암수 모두 수명이 평균 24.9%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항체를 투여해 IL-11의 작용을 차단한 암수 생쥐는 신진대사와 근육 기능이 개선되고 노화 및 허약 징후가 감소했다.

 사람으로 치면 55세에 해당하는 75주된 생쥐에 항 IL-11 약물을 지속해서 투여하자 수컷은 수명이 22.4%, 암컷은 25% 늘어났으며, 노화 관련 암 발생률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종합하면 항 IL-11 치료가 노화가 진행 중인 동물의 건강을 개선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 치료법이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는 현재 섬유 염증성 질환에 대한 초기 단계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인 항 IL-11 치료법이 잠재적으로 사람의 수명과 건강수명도 연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Stuart Cook et al., 'Inhibition of IL-11 signalling extends mammalian healthspan and lifespa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701-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대동맥류 환자, 10여년새 3배로…"스텐트시술 생존율 높여"
대표적 노인성 혈관 질환인 복부 대동맥류(AAA) 환자가 최근 10여년 사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4천148명에서 2022년 1만3천169명으로 약 3.2배로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배 속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대동맥이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주요 원인은 혈관 벽을 약하게 하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다. 특히 고령의 남성에서 다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하다.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복부나 등,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에 쿵쿵 뛰는 듯한 박동감을 느끼는 것도 대표적인 의심 신호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대부분 대동맥이 파열하기 직전이거나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조기 진단을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기 검진으로 미리 발견해야 한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복부 대동맥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인공 혈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