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하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정서 장애' 유병률 높아"

결점을 안고 살아가기…신간 '불완전한 인간'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가 영특하길 바란다.

 초등학교 들어갈 무렵부터 웩슬러 검사 같은 지능검사까지 하며 아이를 테스트한다. 하지만 머리가 좋다고 다 성공하는 건 아니다.

 게다가 좋은 머리는 때론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한 연구 결과는 그런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미국 피처대 심리학자 루스 카르핀스키가 이끄는 연구팀이 IQ 130 이상의 상위 영재로 분류된 4천명과 정상 지능 수준을 가진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영재는 일반 우울증, 양극성 장애 등 '정서 장애' 유병률이 대조군보다 17.3% 높았다.

 또한 사회 공포증 강박 장애 등 '불안장애' 유병률이 최대 9.1%가량 높았다.

 아울러 높은 IQ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주의력결핍증(ADD), 아스퍼거 증후군(ASD)과도 관련 있었다.

 높은 지능은 면역체계 혼란도 촉발했다.

 고지능 집단에선 평범한 지능을 지닌 이들보다 알레르기가 22.6%, 천식 8%, 자가면역질환이 6.7% 더 자주 발생했다.

 이 같은 수치는 의사의 공식적 진단을 받지 않은 개인, 즉 의심 사례는 포함되지 않았기에 실제 유병률은 더 높을 수 있다고 스페인 진화인류학자이자 의사인 마리아 마르티논 토레스는 설명한다.

 그는 신간 '불완전한 인간'에서 "IQ가 높고 두뇌가 과잉 활성화된 사람은 정서 및 불안 장애뿐 아니라 알레르기나 천식 같은 방어시스템 장애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컸다"고 말한다.

 또한 지능이 높은 하이퍼 브레인(Hyper Brain) 소유자들은 강박적일 정도로 생각을 거듭해 정신적 동요와 극심한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인다.

 저자는 "과도하거나 지속적인 걱정, 정신적 고조 상태는 우리 몸의 시스템과 조직을 망가뜨리고 면역 체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신호를 방출한다"며 "이것이 카르핀스키와 동료들이 정신적 과흥분을 신체적 과흥분과 연관시키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책은 지능 문제를 포함해 인간의 죽음, 늙음, 두려움과 불안, 수면장애, 암, 감염과 전염병, 성장기, 음식, 폭력 등을 진화인류학과 의학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저자는 인간이란 죽을 수밖에 없는, 질병과 불완전함에 시달리는 존재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런 죽음과 질병은 수백만년에 이르는 진화의 시간 속에서 종(種)의 유지를 위해 나타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가령, 진화적 관점에서 죽음은 새로운 구성원을 위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종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일을 담당했다.

 저자는 암, 폐렴 등 각종 질병과 전염병이 그 같은 일을 해 왔다며 "질병이 한 사람의 삶과 주변 환경을 좌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규모로 보면 자연선택이라는 조각칼로 우리의 진화 역사를 조각해왔다"고 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PA 합법화가 마냥 반갑지 않은 간호사들…"업무범위 줄여야"
"현장에서는 여전히 의사가 해야 하는 일들이 직무 기술이 없는 간호사들에게 마구 넘어오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환자 안전입니다."(현장 간호사 A씨) 간호사들의 숙원이었던 '간호법'이 지난달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대한간호협회(간협)는 "19년 만에 이뤄진 역사적 사건"이라며 환영했지만, 현장 간호사들은 이번 간호법안은 진료지원(PA) 간호사 합법화를 골자로 한다는 점에서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간호사들은 의사의 업무가 간호사에게 과도하게 넘어오지 않도록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PA 간호사가 전문 인력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무 교육과 수련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전공의 이탈에 '대체 인력' PA 간호사, 합법적 지위 획득 간호법이 지난달 28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앞으로 PA 간호사가 합법적인 지위를 인정받게 된다. PA 간호사는 임상 현장에서 특수검사나 시술 등 의사의 업무 중 일부를 대신 수행하는 인력이다. 의료기관들은 외과 등 소위 필수의료과의 전공의 지원율 하락으로 의사 인력이 부족해지자, PA 간호사를 선발해 전공의 대체 인력으로 써왔고, PA 간호는 전국적으로 1만6천여 명에 이를 정도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과학자들 "살빼는 약 오젬픽·위고비, 노화도 늦춘다"
당뇨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체중감량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살빼는 약'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오젬픽과 위고비가 인체 노화도 늦춰 사망률을 낮춰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31일(현지시간) 이같은 결과가 지난주 런던에서 열린 유럽 심장학회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고 보도했다. 오젬픽과 위고비의 주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는 인슐린 분비 촉진과 식욕 억제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의 유사체로, 앞선 연구들에서 비만이나 과체중, 심장질환자의 사망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세마글루타이드가 관절염, 알츠하이머, 암, 코로나19 등 훨씬 더 광범위한 질병에 영향을 미쳐 사망률을 전반적으로 낮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할란 크럼홀츠 미국 예일의대 교수는 "세마글루타이드는 우리가 처음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광범위한 이점이 있었다"며 "단순히 심장마비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은 건강을 증진한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의 건강을 개선하면 실제로 노화 과정이 지연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연구는 미국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이면서 심혈관 질환이 있지만 당뇨병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