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부모는 아이가 영특하길 바란다.
초등학교 들어갈 무렵부터 웩슬러 검사 같은 지능검사까지 하며 아이를 테스트한다. 하지만 머리가 좋다고 다 성공하는 건 아니다.
게다가 좋은 머리는 때론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한 연구 결과는 그런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미국 피처대 심리학자 루스 카르핀스키가 이끄는 연구팀이 IQ 130 이상의 상위 영재로 분류된 4천명과 정상 지능 수준을 가진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영재는 일반 우울증, 양극성 장애 등 '정서 장애' 유병률이 대조군보다 17.3% 높았다.
또한 사회 공포증 강박 장애 등 '불안장애' 유병률이 최대 9.1%가량 높았다.
아울러 높은 IQ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주의력결핍증(ADD), 아스퍼거 증후군(ASD)과도 관련 있었다.
높은 지능은 면역체계 혼란도 촉발했다.
고지능 집단에선 평범한 지능을 지닌 이들보다 알레르기가 22.6%, 천식 8%, 자가면역질환이 6.7% 더 자주 발생했다.
이 같은 수치는 의사의 공식적 진단을 받지 않은 개인, 즉 의심 사례는 포함되지 않았기에 실제 유병률은 더 높을 수 있다고 스페인 진화인류학자이자 의사인 마리아 마르티논 토레스는 설명한다.
그는 신간 '불완전한 인간'에서 "IQ가 높고 두뇌가 과잉 활성화된 사람은 정서 및 불안 장애뿐 아니라 알레르기나 천식 같은 방어시스템 장애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컸다"고 말한다.
또한 지능이 높은 하이퍼 브레인(Hyper Brain) 소유자들은 강박적일 정도로 생각을 거듭해 정신적 동요와 극심한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인다.
저자는 "과도하거나 지속적인 걱정, 정신적 고조 상태는 우리 몸의 시스템과 조직을 망가뜨리고 면역 체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신호를 방출한다"며 "이것이 카르핀스키와 동료들이 정신적 과흥분을 신체적 과흥분과 연관시키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책은 지능 문제를 포함해 인간의 죽음, 늙음, 두려움과 불안, 수면장애, 암, 감염과 전염병, 성장기, 음식, 폭력 등을 진화인류학과 의학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저자는 인간이란 죽을 수밖에 없는, 질병과 불완전함에 시달리는 존재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런 죽음과 질병은 수백만년에 이르는 진화의 시간 속에서 종(種)의 유지를 위해 나타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가령, 진화적 관점에서 죽음은 새로운 구성원을 위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종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일을 담당했다.
저자는 암, 폐렴 등 각종 질병과 전염병이 그 같은 일을 해 왔다며 "질병이 한 사람의 삶과 주변 환경을 좌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규모로 보면 자연선택이라는 조각칼로 우리의 진화 역사를 조각해왔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