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어린이·청소년 가당음료 섭취 증가…미래 건강 위협"

 전 세계 어린이와 청소년(3~19세)의 설탕 첨가 음료 섭취량이 1990년부터 2018년 사이에 23% 늘어, 일주일에 청량음료나 주스 같은 설탕 첨가 음료(1회 248g 기준)를 평균 3.6회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어린이·청소년들은 설탕 첨가 음료 섭취량이 성인보다 거의 두 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체중 증가와 비만을 유발해 미래 세대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설탕 첨가 음료 섭취를 줄이기 위한 표적 교육과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터프츠대·워싱턴대의 로라 라라-캐스터 박사팀은 8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세계 185개국 국민의 음식 섭취 종합 자료집인 글로벌 식이 데이터베이스(GDD)를 활용, 1990~2018년 어린이·청소년 설탕 첨가 음료 섭취량 추세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GDD에는 185개국 1천224개 식이 조사가 통합돼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의 99% 포괄한다.

 이 중 118개국에서 실시된 450개 설문조사에 설탕 첨가 음료(SSB)에 대한 데이터가 담겨 있다.

 분석 결과 어린이·청소년의 주당 설탕 첨가 음료 섭취량(1회 248g 기준)은 2018년 3.6회로 1990년보다 22.9%(0.68회분) 증가했고, 이는 성인 섭취량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섭취량은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이 주당 9.1회로 가장 많았고 남아시아 지역이 1.3회로 가장 적었다.

 특히 전 세게 어린이·청소년의 10%에 해당하는 56개국 2억3천800만 명이 주당 평균 7회 이상 설탕 첨가 음료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3~19세 어린이 청소년 내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설탕 첨가 음료 섭취량이 많았고, 도시 거주자보다는 농촌 거주자가, 또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많은 국가 중 설탕 첨가 음료 섭취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멕시코로 어린이·청소년들이 주당 10.1회나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우간다 6.9회, 파키스탄 6.4회, 남아프리카공화국 6.2회, 미국 6.2회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팀은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 정부가 건강한 식습관 장려를 위해 탄산음료세, 학교 내 설탕 첨가 음료 판매 제한 등 조치를 하고 있으나 이런 노력은 업계의 공격적 마케팅과 식품 부문 세계화 같은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제1 저자 겸 교신저자인 라라-캐스터 박사는 "설탕 첨가 음료는 체중 증가와 비만을 초래, 당뇨병이나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 연구는 설탕 첨가 음료의 부정적 영향을 막기 위한 표적 교육과 정책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BMJ, Laura Lara-Castor et al., 'Intake of sugar sweetened beverag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85 countries between 1990 and 2018: population based study', https://www.bmj.com/content/386/bmj-2024-07923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