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쑤시개 잦은 사용보단 치실·치간칫솔 쓰세요"

치실·치간칫솔은 양치 때 일반 칫솔과 함께 써야 더 효과
치실, 부드럽게 상하운동으로 5~6회…치간칫솔, 1~2주 간격 교체

 우리나라 대부분의 식당 계산대에는 이쑤시개가 놓여 있다. 식사를 마친 사람들이 잇새에 낀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하라는 취지다.

 사실 이쑤시개의 역사는 깊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발굴된 화석으로 볼 때 현생 인류인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이전의 조상 인류인 사람족(호미닌)이 이미 동물의 뼈를 작고 가늘게 갈아 이쑤시개로 썼다는 학설부터 기원전 1천600년께 중국에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형태의 이쑤시개가 처음 사용돼 동아시아로 확산했다는 분석이 공존한다.

 더욱이 이쑤시개를 치아 사이에 깊숙이 넣는 방식으로 계속 사용하면 오히려 치아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조영단 교수는 "이쑤시개처럼 단단한 도구는 치실이나 치간칫솔처럼 유연성이 없다"면서 "이 때문에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빼기 위해 이쑤시개를 자주 사용하면 치아가 옆으로 벌어지는 쐐기 효과(wedging effect)로 치아 사이가 더 벌어지고 치태 제거 효과도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올바른 구강 관리를 위해서는 이쑤시개보다 치실, 치간칫솔을 이용해야 한다는 게 조 교수의 설명이다.

 치실과 치간칫솔을 써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치아 사이 부분에 닿지 않아 완벽한 양치가 불가능한 일반 칫솔의 단점 때문이다.

 치실은 실 형태여서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제거에 좋고, 치간칫솔은 치아 사이 부분에 넣어 치면을 닦을 수 있어 치태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또 치실은 모든 연령층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치아 사이 공간이 넓은 경우에는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게 좀 더 효과적이다.

 치실과 치간칫솔은 일반 칫솔로 양치할 때 늘 함께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일반 칫솔로만 양치를 마무리하면 치아 사이는 전혀 닦이지 않고, 양치해야 하는 대상의 70% 정도만 닦은 것과 같기 때문이다.

 조 교수는 "일반칫솔이 교합면(치아에서 반대쪽 턱이 치아와 접해 물리는 면), 협면(치아에서 볼 쪽에 가까운 면), 설면(치아에서 혀 쪽에 가까운 면) 등 치면 전체의 약 3분의 2를 닦아낸다면, 치실과 치간칫솔은 치면 전체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치아 사이의 치간면(치아 사이 부분)을 닦아낸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잘못 사용하면 치아에 씌운 금니 등의 보철물이 빠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치실의 경우 올바른 사용법은 부드럽게 톱질하듯이 치아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치실을 치근면(잇몸과 치아 뿌리가 만나는 면)에 부착시켜 치아면을 감싼 채로 상하운동을 5~6회 정도 반복하는 방식이다. 치실을 제거할 때는 위로 다시 통과시켜 제거하기보다는 옆으로 치실을 빼내는 게 좋다.

 조 교수는 "치실을 너무 세게 당기거나 잘못된 각도로 반복 사용하면 비정상적인 힘이 작용함으로써 보철물 접착제의 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면서 "치실로 위, 아래 또는 좌, 우 사선으로 부드럽게 움직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치실 사용 시 적절한 길이는 약 30~40㎝로, 치아 사이에 사용할 3~4㎝ 정도만 남기고 치실을 양쪽 검지 또는 중지 등 편한 손가락에 감는 게 권장된다.

 치간칫솔은 일반적으로 1~2주 간격으로 교체하는 게 적당하다. 만약 브러시 부분이 마모되거나 변형됐다면 즉시 교체해야 한다.

 또 치실이나 치간칫솔 사용 때마다 피가 난다면 잇몸 염증이나 치주질환의 신호일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조 교수는 "치실이나 치간칫솔 사용 중 피가 나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계속 사용해 구강을 깨끗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런데도 잇몸 출혈이 지속된다면 치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마약성 진통제 시대 개막…비보존, 국산신약 어나프라주 출시
비보존제약이 제38호 국산신약으로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국내 출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어나프라주의 본격적인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출정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장부환 비보존제약 대표이사의 환영사, 개발자인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의 감사 인사, 신약 비전 선포식, 어나프라주 출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며 어나프라주는 부작용이 적은 통증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장은 축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절실한 상황에 어나프라주의 국내 출시는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학회도 앞으로 어나프라주가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개발은 수많은 글로벌 빅파마들조차도 넘기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졌으나 비보존제약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