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투명 쥐 성공…식용 염료로 피부 투명하게 만들어"

美 연구팀 "인체 안전·효과 검증되면 의료 진단에 적용 가능할 것"

  식용색소로 쓰이는 노란색 염료를 이용해 살아있는 동물 피부 조직을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노란색 염료 용액을 생쥐 머리와 배에 문지르면 피부가 투명해지면서 뇌 표면 혈관과 장 수축 운동, 심장 박동이 보이고 염료가 배출된 뒤에는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인체 조직에 가장 잘 작용할 수 있는 염료 용량을 밝혀내 적용하면 이 방법을 부상 위치 파악부터 소화 장애 모니터링, 암 식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의료 진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궈쑹 훙 교수팀은 6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일반적인 노란색 식용 색소인 타르트라진(FD&C Yellow #5) 용액을 이용해 살아있는 생쥐의 두개골과 복부 피부를 투명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생체 조직 구성 물질들의 다양한 굴절률을 일치시키면 조직을 투명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빛을 흡수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염료가 다양한 굴절률을 균일하게 만드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들은 대부분의 빛, 특히 청색광과 자외선을 흡수하는 노란색 식용 염료 타르트라진에 주목했다.

 타르트라진을 물에 녹여 조직에 흡수시키면 조직 구성 물질들의 굴절률을 같게 만들어 빛의 산란을 막고 투명하게 보이게 할 것으로 예상했다. 

  먼저 얇은 닭가슴살 조각으로 타르트라진 용액을 테스트한 결과, 타르트라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근육 세포 내 체액의 굴절률이 근육 단백질의 굴절률과 같아질 때까지 커지면서 닭가슴살이 투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타르트라진 용액을 쥐의 두피에 부드럽게 문질러 흡수시키자 피부가 투명해지면서 뇌 표면 혈관이 드러났으며, 복부에 용액을 바르자 몇 분 안에 장기와 소화관의 연동 운동과 심장의 박동 모습이 보였다.

  투명해진 생체 조직은 염료를 씻어낸 뒤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쥐의 경우 피부로 흡수돼 체내로 퍼진 염료는 소변을 통해 배설됐다.

 논문 제1 저자인 지하오 어우 박사(현재 댈러스 텍사스대 교수)는 "아직 이 방법을 쥐보다 피부가 약 10배 두꺼운 사람에게는 테스트하지 않았고 투명 효과를 위해 염료가 얼마나 필요한지 알 수 없다"면서 "하지만 이 염료가 생명체에 안전하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단계 연구에는 인체 조직에 가장 잘 작용할 수 있는 염료 용량을 밝혀내는 것이 포함될 것"이라며 "이와 함께 타르트라진보다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실험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논문 교신저자인 훙 교수는 "앞으로 이 기술은 혈액 채취 시 정맥을 더 잘 보이게 하고, 레이저로 문신을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Guosong Hong et al. , 'Achieving optical transparency in live animals with absorbing molecules',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m686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디지털의료제품 인증·규제지원기관 내달 운영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한 인증 업무와 규제 지원을 해주는 기관들이 내달 운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부터 4년간 123억6천400만원을 투입해 '디지털의료제품 안전관리 강화' 사업을 진행한다. 이 사업은 다음달 24일 디지털의료제품법 시행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뛰어나 정보통신기술과 세계 수준의 의료 인프라를 바탕으로 글로벌 디지털의료제품 시장을 선점하고 국제표준을 주도하기 위해 디지털의료제품의 안전관리와 규제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사업이다. 디지털의료제품법은 현행 유형 하드웨어 중심의 규제가 무형 소프트웨어(SW)와 데이터, 네트워크,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의료제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해 지난 1월 제정됐으며 내년 1월 24일 '디지털의료기기'와 '디지털융합의약품', 2026년 1월 24일 '디지털의료·건강지원기기'에 대해 각각 적용된다. 디지털 센서·모바일 앱 등 디지털의료기기뿐 아니라 약품이 조합돼 효능과 안전성을 높이는 디지털융합의약품에 대해서도 임상·허가 등 통합 평가체계가 마련된 것으로, 의료기기는 아니지만 생체신호를 측정·분석하거나 생활 습관을 기록·분석해 식이·운동 등 건강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