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투명 쥐 성공…식용 염료로 피부 투명하게 만들어"

美 연구팀 "인체 안전·효과 검증되면 의료 진단에 적용 가능할 것"

  식용색소로 쓰이는 노란색 염료를 이용해 살아있는 동물 피부 조직을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노란색 염료 용액을 생쥐 머리와 배에 문지르면 피부가 투명해지면서 뇌 표면 혈관과 장 수축 운동, 심장 박동이 보이고 염료가 배출된 뒤에는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인체 조직에 가장 잘 작용할 수 있는 염료 용량을 밝혀내 적용하면 이 방법을 부상 위치 파악부터 소화 장애 모니터링, 암 식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의료 진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궈쑹 훙 교수팀은 6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일반적인 노란색 식용 색소인 타르트라진(FD&C Yellow #5) 용액을 이용해 살아있는 생쥐의 두개골과 복부 피부를 투명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생체 조직 구성 물질들의 다양한 굴절률을 일치시키면 조직을 투명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빛을 흡수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염료가 다양한 굴절률을 균일하게 만드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들은 대부분의 빛, 특히 청색광과 자외선을 흡수하는 노란색 식용 염료 타르트라진에 주목했다.

 타르트라진을 물에 녹여 조직에 흡수시키면 조직 구성 물질들의 굴절률을 같게 만들어 빛의 산란을 막고 투명하게 보이게 할 것으로 예상했다. 

  먼저 얇은 닭가슴살 조각으로 타르트라진 용액을 테스트한 결과, 타르트라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근육 세포 내 체액의 굴절률이 근육 단백질의 굴절률과 같아질 때까지 커지면서 닭가슴살이 투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타르트라진 용액을 쥐의 두피에 부드럽게 문질러 흡수시키자 피부가 투명해지면서 뇌 표면 혈관이 드러났으며, 복부에 용액을 바르자 몇 분 안에 장기와 소화관의 연동 운동과 심장의 박동 모습이 보였다.

  투명해진 생체 조직은 염료를 씻어낸 뒤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쥐의 경우 피부로 흡수돼 체내로 퍼진 염료는 소변을 통해 배설됐다.

 논문 제1 저자인 지하오 어우 박사(현재 댈러스 텍사스대 교수)는 "아직 이 방법을 쥐보다 피부가 약 10배 두꺼운 사람에게는 테스트하지 않았고 투명 효과를 위해 염료가 얼마나 필요한지 알 수 없다"면서 "하지만 이 염료가 생명체에 안전하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단계 연구에는 인체 조직에 가장 잘 작용할 수 있는 염료 용량을 밝혀내는 것이 포함될 것"이라며 "이와 함께 타르트라진보다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실험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논문 교신저자인 훙 교수는 "앞으로 이 기술은 혈액 채취 시 정맥을 더 잘 보이게 하고, 레이저로 문신을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Guosong Hong et al. , 'Achieving optical transparency in live animals with absorbing molecules',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m686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마약성 진통제 시대 개막…비보존, 국산신약 어나프라주 출시
비보존제약이 제38호 국산신약으로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국내 출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어나프라주의 본격적인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출정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장부환 비보존제약 대표이사의 환영사, 개발자인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의 감사 인사, 신약 비전 선포식, 어나프라주 출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며 어나프라주는 부작용이 적은 통증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장은 축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절실한 상황에 어나프라주의 국내 출시는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학회도 앞으로 어나프라주가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개발은 수많은 글로벌 빅파마들조차도 넘기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졌으나 비보존제약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