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은 이제 가을 아닌 '여름'…낮 최고기온 평균 '31도'

기상관측 사상 9월 최고기온 평균이 30도 넘은 적은 처음
광주 35.7도까지 올라 사흘 연속 '9월 기온 신기록'…고창은 36.1도
추석날까지 더위·열대야 이어져…비 내려도 '무용지물'

 이쯤 되면 9월 날씨의 신기원이라고 할만하다. 9월은 이제 가을이 아닌 여름으로 여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9월 전반이 끝나는 15일에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9월 최고기온 신기록'이 다시 갈아치워졌다.

 대표적으로 이날 광주 낮 기온이 평년기온보다 8.4도나 높은 35.7도까지 올라 지난 13일 이후 사흘 연속으로 1939년 5월 지역 기상관측 시작 이래 9월 최고기온 기록이 경신됐다.

 전남 목포도 이날 최고기온이 34.3도를 기록해 지난 10일 세워진 역대 9월 최고기온 1위 자리가 닷새 만에 바뀌었다.

 전북 임실(최고기온 33.9도)·고창(36.1도)·순창(36.3도), 전남 영광(34.8도)과 진도(34.7도) 등에서도 9월 최고기온 신기록이 새로 작성됐다.

 9월 최고기온 2위가 바뀐 지역도 충남 서산(33.4도)·보령(34.7도)·부여(35.3도), 충북 청주(35.2도), 전북 군산(34.2도)·전주(35.0도)·장수(32.7도), 전남 여수(33.3도)와 해남(34.2도) 등 많았다.

 늦더위가 끝나지 않으면서 이달 기온 기록은 '전대미문' 수준이다.

 이달 1~14일 전국 평균 기온은 26.1도로,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후 부동의 1위다. 2위(2010년 24.4도)를 1.7도나 웃돈다.

 1~14일 일최고기온 평균은 31도에 달한다. 이 기간 일최고기온 평균이 30도를 넘은 적은 52년간 한 번도 없었다. 2위 값(1998년 29.5도)과 비교하면 이달 평균이 1.5도나 높다.

 일최저기온 평균은 22.3도로 역시 1위이며, 2위(2010년 21.3도)와 1도 차다.

 고기압 영향권에 놓인 데다가, 동해 쪽 고기압과 제주 남쪽 동중국해를 지나는 제13호 태풍 버빙카 사이로 고온다습한 바람이 불면서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당분간 수도권·충청·남부지방·제주 등 폭염특보가 내려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체감온도가 최고 33~35도 안팎에 달하는 더위가 이어질 전망이다.

 추석 전날인 16일 아침 최저기온은 19~27도, 낮 최고기온은 26~35도겠다. 추석인 17일도 22~27도와 30~34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밤에는 열대야가 이어지겠다.

 한가위 밤도 열대야인 지역이 많을 전망이다.

 동풍이 불어 강원영동에 16일 오후까지, 경상해안과 제주에 16일 밤까지 비가 이어지고 이외 시간과 지역엔 소나기가 올 때가 있겠다.

 비나 소나기에 기온은 일시적으로 떨어지지만, 무용지물이 될 전망이다. 습도가 오르면서 더위가 식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