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트로겐, 면역세포 약화해 유방암 등 종양 성장 촉진"

美 연구팀 "항에스트로겐 약물, 종양 성장 억제…유방암 임상시험 계획"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종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면역세포를 약화해 유방암 등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항에스트로겐 약물을 항암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듀크대 암연구소 도널드 맥도널 교수팀은 28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서 유방암과 흑색종 쥐 모델 실험 결과 에스트로겐이 종양을 공격하는 면역체계의 능력을 약화하고 면역요법 효과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방암은 여성들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표피성장인자 수용체2(HER2)가 모두 없는 삼중 음성 유방암은 다른 유방암보다 뇌·폐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고 5년 생존율이 12%에 불과하다.

 맥도널 교수는 "삼중 음성 유방암 치료는 면역 요법 등장으로 크게 개선됐지만 효과가 좋지 않은 경우도 많다"며 "면역 요법의 항암 활성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하는 게 이 연구의 주요 목표"라고 말했다.

 호산구는 최근 종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종양 관련 호산구 증가증(TATE)은 대장암, 식도암, 위암, 구강암, 흑색종, 간암 등 암 환자의 예후 개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유방암과 흑색종 쥐 모델 실험 결과 에스트로겐은 호산구 수와 종양 관련 호산구 증가증(TATE)을 감소시켜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 유방암 종양과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성장을 의존하지 않는 흑색종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항에스트로겐 약물을 투입한 생쥐에게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신호가 억제되면서 면역 요법의 효능이 강화되고 종양 성장이 늦춰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맥도널 교수는 "이 결과는 에스트로겐이 호산구의 작용과 TATE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항에스트로겐 약물을 여러 유형 종양의 면역 치료 효과 개선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결과를 토대로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라소폭시펜'이라는 항에스트로겐 약물의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Science Advances, Donald McDonnell et al., 'Estrogen signaling suppresses tumor associated tissue eosinophilia to promote breast tumor growth', https://doi.org/10.1126/sciadv.adp244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