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더 안전하고 간단하게 합성…"합성화학 분야 새 가능성""

UNIST, 세 가지 화합물 결합으로 '알렌' 합성

 약물 개발에 필수적인 화합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기술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UNIST 화학과 홍성유, 얀-우베 로데(Jan-Uwe Rohde)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반응성이 높은 위험한 화학물질 없이도 다양한 성분이 결합한 알렌(Allene) 합성법을 찾았다고 최근 밝혔다.

 알렌이란 탄소 원자들이 독특한 방식으로 이중 결합한 화합물로, 신약 개발과 합성 화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니켈 촉매와 환원 조건에서 1,3-인아인(1,3-enyne), 알킬 아이오다이드(alkyl iodide), 아릴 아이오다이드(aryl iodide) 등 세 가지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결합해 하나의 일정한 구조의 알렌  화합물을 합성했다.

 이 과정은 높은 화학 선택성(원하는 화학 반응만 선택적으로 일어나는 것)과 위치 선택성(분자 내 특정 위치에서 반응이 일어나도록 조절하는 것)을 보여 복잡한 알렌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세 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한 번에 결합하는 다성분 반응은 유용한 합성 경로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반응을 더 복잡한 구조로 확장하고, 다양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물질들과도 안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홍성유 교수는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복잡한 알렌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게 됐다"며 "합성 화학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CS 카탈리시스'(ACS catalysis)에 지난 5월 28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 과제와 개인연구사업 중견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X레이' 놓고 의사-한의사 충돌…입법예고 찬반 1만7천건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들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법안 통과에 반대하는 의사들과 찬성하는 한의사들이 총결집하면서 입법예고 기간 1만7천건이 훌쩍 넘는 찬반 의견이 쏟아졌다. 국회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영석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입법예고(10월 13∼22일) 마감을 앞두고 지난 21일 오후 3시 30분 현재 1만7천300건가량의 의견이 등록됐다. 비공개 의견을 제외하고 제목에 '찬성' 또는 '반대'가 표기된 의견만을 놓고 보면 반대가 1만1천여 건, 찬성이 3천500여 건 정도다. 이 개정안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규정을 바꾸는 내용이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기관 개설자 등이 방사선 장치를 설치하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하도록 했고, 관련 복지부령은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을 의사, 치과의사, 방사선사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은 '의료기관 개설자나 관리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안전관리책임자가 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즉, 한의사가 개설한 의료기관의 경우 한의사도 안전관리책임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