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약사회·경북대병원 "의료용 마약류 처방 환자 절반이 남겨"

양 기관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 시범 운영

  한국병원약사회는 종합병원인 대구 경북대병원에서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환자 절반이 마약류를 다 복용하지 못하고 남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병원약사회는 지난 7월부터 경북대병원과 '종합병원-문전약국 연계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복약상담 전담약사가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상담을 거쳐 가정 내 마약류 존재를 확인한 뒤 잔여 마약류가 있는 경우 2차 상담을 통해 환자의 마약류 처방 이력과 복용량, 잔여량, 잔여량 발생 사유, 부작용을 파악하고 잔여 마약류를 인근 약국에 반납하도록 안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병원약사회는 지난 2개월여간 사업 시행 결과, 상담 환자 134명 중 51.5%가 잔여 마약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또 부작용 때문에 의료용 마약류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도 주요 잔여약 발생 원인으로 파악됐다고 병원약사회는 전했다.

 이에 따라 병원약사회는 지속 시간과 사용 목적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의료용 마약류를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마약류 사용법과 부작용 대처 요령을 교육하는 한편, 처방단계에서 처방의가 마약류의 수량과 복용 일수를 줄일 수 있도록 병원약사가 적극적으로 처방중재 활동을 하는 것이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제언했다.

 이런 활동을 통해 잔여 마약류를 줄이고 방치 또는 의도적 보관을 감소시켜 마약류를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정태 한국병원약사회장은 "연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시범사업 이후에도 사업이 계속 시행돼 환자가 안전하게 처방약을 복용하고 잔여약을 최소화해 마약류 오남용이나 사고에서 환자들을 지킬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