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의사 증가 지속…의료대란 전보다 7% 증가

전국 180곳 센터서 지난달에만 26명 늘어 증가세 지속
"응급의료 보상 현실화 영향…비상진료체계 끝나도 보상 유지해야"

 종합병원 이상급에서 지정되는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 전문의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

 지난 추석을 앞두고 응급의료 붕괴 위기까지 제기됐지만 실상은 달랐다는 건데, 전문의 증가를 두고 응급의료계에서는 보상의 '현실화'가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한 자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달 28일 현재 1천604명이다.

 올해 추석 연휴(9월 15∼18일)를 앞두고 의사 부족으로 응급실 진료가 마비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던 9월 2일 기준(1천577명)으로도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작년 말보다 많았다.

 응급의료법에 따르면 통상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정된다.

 응급의학계에서는 이들 센터의 전문의 증가 추세 배경에 '보상의 현실화'가 있다고 설명한다.

 이경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통계와 현실 사이에 시차가 있다지만, 전문의가 늘고 있는 추세는 맞다"며 "정부에서 주는 직접적인 보상이 늘었기 때문에 의사 수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해 전문의 진찰료를 권역·전문 응급의료센터에서 250%,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150% 가산했다.

 진찰료 가산을 두고 이 교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받는 돈이 단순히 늘었다기보다는 그동안 응급의료의 현실에 비해 적었던 보상을 현실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부가 보건의료 재난 위기 '심각'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는 계속 늘어난 진찰료를 유지하기로 한 점은 다행"이라며 "다만, 향후 이를 제도화하지 않으면 그땐 정말 응급의료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180개소) 응급의학과 전문의 현황(단위: 명)

구분 23.12. 24.10.7. 24.10.14. 24.10.21. 24.10.28.
합계(180) 1,504 1,590 1,597 1,603 1,604
권역센터(44) 490 501 502 508 509
지역센터(136) 1,014 1,089 1,095 1,095 1,09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