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꺼번에 10종 넘는 약 복용 만성질환자 136만명…매년 증가추세

5년새 52만명 늘어, 대부분 60대 이상…다제복용 노인환자 입원 위험도 커
전문가들 "다제복용 줄여야"…건보당국, 과잉처방 제어·상담서비스 제공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여러 개의 약을 한꺼번에 복용하는 환자가 해마다 늘면서 이들에 대한 관리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 무릎관절증 등 만성질환을 1개 이상 진단받고 10개 이상의 약을 60일 이상 복용하는 사람은 올해 6월 현재 136만1천754명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122만7천32명(90%)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급속한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국내 다제약물 복용자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다제약물 복용자는 다른 주요 나라보다 많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75세 이상 환자 대상 다제병용 처방률(5개 이상의 약물을 90일 또는 4회 이상 처방받은 환자 비율)은 70.2%(2019년 기준)로 OECD 평균(45.7%)보다 한참 높았다.

 여러 개의 약을 동시에 먹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건강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노인은 약물 대사 및 신장 배설 능력이 떨어진 경우가 많아 다제복용이 자칫 질병 치료보다 건강에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공주대 보건행정학과 공동 연구팀 논문에 따르면 국내 65∼84세 노인의 약물 복용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장기간의 약물 다제복용이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16∼2018년 국민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를 토대로 90일 이상 약물 복용 그룹(295만5천755명)과 180일 이상 약물 복용 그룹(269만3천897명)으로 나눠 입원율, 응급실 방문율, 사망률을 각각 분석했다.

 그 결과 180일 이상 10가지 이상의 과도한 다제복용을 지속한 노인 환자가 입원할 위험은 다제복용이 없었던 노인 환자 그룹보다 1.85배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같은 비교 조건에서 응급실 방문과 사망 위험은 각각 1.92배, 2.57배 높았다.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약물 복용이 합병증과 무관하게 노인의 입원, 응급실 방문, 사망 위험을 상당히 높일 수 있는 만큼 환자와 의사 모두 다제약물 복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건강보험공단은 노인 환자의 다제약물 복용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다제약물 관리사업 등 여러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다.

 나아가 다제약물 복용자의 건강위험을 줄일 관리체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처방과 조제 단계부터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와 실시간 의료 이용 확인 시스템 등을 활용해 환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등 과다·과잉 처방을 제어하기로 했다.

 DUR은 의약품을 처방하거나 조제하는 의료인에게 의약품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노인 요양·돌봄과 연계해 다제약물 복용자를 대상으로 약물 점검·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후관리에도 힘쓰기로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119가 이송병원 선정하게 법 바꿔야"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를 막기 위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에 '환자 이송 허락'을 받는 관행을 없애고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법을 바꿔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지침의 쟁점과 실효성 확보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응급실 뺑뺑이는 119 구급대가 이송하는 환자를 응급실에서 받기 어려워 다른 병원으로 다시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상황을 뜻한다. 보고서는 "응급실 뺑뺑이의 실체는 119가 여러 의료기관에 전화를 걸어 이송할 곳을 찾는, 사실상 '전화 뺑뺑이'"라며 "응급의료기관의 수용능력 확인 절차가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사전 허락을 받는 절차가 돼 버렸다"고 짚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됐고 보건복지부는 개정 후속 조치로 지난해 4월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표준 지침을 배포했다. 지침은 응급의료기관이 병상 포화, 진단 장비 사용 불가, 모니터링 장비 부족, 중증응급환자 포화 등으로 1회에 한해 2시간까지만 수용 곤란 고지를 할 수 있도록 제한했지만 응급실 재이송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