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잡곡 혼합 가공제품</strong><br>
[농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4317427854_880ce4.jpg?iqs=0.32422851490944404)
농촌진흥청은 당뇨병과 고혈압 예방을 위해 개발한 최적의 잡곡 혼합 비율을 개발해 산업화 추진에 나섰다고 15일 밝혔다.
잡곡은 식이섬유, 폴리페놀, 단백질 등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소재로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지금까지 시판된 잡곡 혼합 제품은 주로 맛과 식감 위주의 배합에 그쳐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농진청은 국내 주요 잡곡 가운데 항당뇨·항고혈압 활성이 우수한 품목을 선별하고, 과학적 검증을 거쳐 최적의 혼합 비율을 설정했다.
이번에 개발된 혼합 비율은 항당뇨의 경우 귀리 30%, 수수 30%, 손가락조 15%, 팥 15%, 기장 10%이다.
또 항고혈압은 손가락조 30%, 수수 35%, 팥 35% 등이다.
농진청은 잡곡 혼합 비율을 특허등록하고, 현재 대상웰라이프, 웬떡 등 국내 9개 업체에 기술 이전을 마쳤다.
이번 기술 개발은 특수의료용도식품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특수의료용도식품 시장 규모는 2024년 6천374억원에서 2033년 1조8천860억 원으로 세 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당뇨병과 고혈압 유병률의 지속적 증가와 관련 식품군의 본격적인 산업화가 맞물리면 수요가 증가해 경제적 가치가 더 확대할 것으로 기대한다.
하태정 농진청 품질관리평가과장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잡곡밥 취반 특성 연구와 질환별 맞춤 잡곡 혼합 기술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국산 식량작물이 돌봄식(케어푸드) 등 산업 소재로 활용되면서 소비 확대와 농가 소득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