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마시면 탈모 온다?…논문들 분석해보니 "연관성 떨어져"

KIST·부산대 연구팀, 음주와 안드로겐성 탈모 연관성 분석

 음주가 탈모에 악영향을 준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음주와 탈모 사이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메타연구(기존 연구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김원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천연물유효성최적화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및 연세대 원주의대 겸임교수와 부산대 김기훈·김윤학 교수 공동연구팀은 음주와 안드로겐성 탈모의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알코올 및 알코올중독'에 발표했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모발의 성장을 억제해 모발이 서서히 얇아지고 빠지는 질환이다.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보통 유전적 영향이 크지만, 흡연이나 식단,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도 잠재적 원인으로 꼽혀 왔는데, 음주도 알코올 대사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두피 면역을 방해할 수 있어 면역질환인 안드로겐성 탈모를 악화할 수 있다는 이론이 존재해왔다.

 안드로겐성 탈모가 있는 이들은 없는 이들과 비교했을 때 음주할 가능성이 1.4배 높았지만, 이것도 통계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존 연구들에서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탈모와 음주 사이 연관성이 발견되는 것에 대해 연구팀은 어느 정도 편향이 존재할 수 있지만, 대규모 연구를 분석하면 관련성이 명확해진다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5만 명을 대상으로 비타민C 섭취와 수명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을 때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가 없었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술을 많이 마시면서 비타민을 먹는 것과 안 먹는 것은 차이가 있다"며 "다양한 사람이 많으면 효과가 확인되지 않지만, 특정 그룹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음주가 안드로겐성 탈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다른 인자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지만, 알코올보다는 스트레스 같은 것이 더 심한 영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91개 시군구 135개 의료기관,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선정…내년부터 진료
보건복지부는 91개 시군구에 있는 135개 의료기관을 재택의료센터 3차 시범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하고 내년 1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는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한 팀으로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가정을 방문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지역사회 요양·돌봄 서비스를 연계하는 의료기관이다.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요양시설 등에 입소하지 않고 집에서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재택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와 의료기관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제3차 장기요양 기본계획에 따라 2027년까지 전체 시군구에 재택의료센터 1곳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지방의료원의 방문진료료 수가가 신설되면서 재택의료센터 사업에 참여하는 지방의료원은 기존 8곳에서 내년 13곳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현재 재택의료센터는 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지방의료원의 참여가 확대되면 의원급에서 다루기 어려운 중증 환자에게 더 적합한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재택의료센터를 통해 어르신들이 지역 사회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의료서비스를 충분히 누릴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디지털의료제품 인증·규제지원기관 내달 운영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의료제품에 대한 인증 업무와 규제 지원을 해주는 기관들이 내달 운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부터 4년간 123억6천400만원을 투입해 '디지털의료제품 안전관리 강화' 사업을 진행한다. 이 사업은 다음달 24일 디지털의료제품법 시행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뛰어나 정보통신기술과 세계 수준의 의료 인프라를 바탕으로 글로벌 디지털의료제품 시장을 선점하고 국제표준을 주도하기 위해 디지털의료제품의 안전관리와 규제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사업이다. 디지털의료제품법은 현행 유형 하드웨어 중심의 규제가 무형 소프트웨어(SW)와 데이터, 네트워크,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의료제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해 지난 1월 제정됐으며 내년 1월 24일 '디지털의료기기'와 '디지털융합의약품', 2026년 1월 24일 '디지털의료·건강지원기기'에 대해 각각 적용된다. 디지털 센서·모바일 앱 등 디지털의료기기뿐 아니라 약품이 조합돼 효능과 안전성을 높이는 디지털융합의약품에 대해서도 임상·허가 등 통합 평가체계가 마련된 것으로, 의료기기는 아니지만 생체신호를 측정·분석하거나 생활 습관을 기록·분석해 식이·운동 등 건강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