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0일 조간)

▲ 경향신문 = '피의자 윤석열' 현직 대통령 첫 출국금지

▲ 국민일보 = 74% "계엄 선포 尹 탄핵해야"

▲ 동아일보 = 尹 출국금지, 현직 대통령 사상 초유

▲ 매일일보 = '무정부' 대한민국 뒤덮은 계엄 후폭풍

▲ 세계일보 = 尹, 현직 대통령 사상 첫 출금… "긴급체포도 가능"

▲ 아시아투데이 = "尹계엄, 내란 아닌 나라살리려 한 것"

▲ 일간투데이 = 내란 상설특검 野주도 법사委 통과

▲ 조선일보 = 與 오늘 '질서있는 퇴진' 로드맵 내놓는다

▲ 중앙일보 = 윤 대통령은 내란 수괴, 검찰 김용현 영장에 적시

▲ 한겨레 = 윤석열 출국금지…현직 대통령 '사상 초유'

▲ 한국일보 = 김용현 구속영장에 '尹 내란죄' 적시

▲ 글로벌이코노믹 = "환율 1500원대 치솟을 것" 경고 잇달아

▲ 대한경제 = 금융시장 '탄핵 쇼크'… 블랙먼데이

▲ 디지털타임스 = '내란혐의' 尹대통령 출국금지… 현직 대통령 사상 초유

▲ 매일경제 = 3중 악재에 탄핵리스크 … 죄없는 경제만 붕괴

▲ 브릿지경제 = 개미 1.2조 패닉셀링… '탄핵 증시' 블랙먼데이

▲ 서울경제 = 尹 전격 출국금지 현직 대통령 최초

▲ 아시아타임즈 = 코스피·코스닥 최악의 날

▲ 아주경제 = 증시 '검은 월요일'… 밸류업펀드 긴급 투입에도 역부족

▲ 에너지경제 = 野 '상설특검' 공세 vs 與 '분열' 속앓이

▲ 울산경제 = 울산시-UNIST, 과학영재학교 설립 추진 '맞손'

▲ 이데일리 = 尹 출국 금지 직접수사 임박

▲ 이투데이 = '탄핵정국'이 삼킨 증시 4일간 시총 144조 증발

▲ 전자신문 = 탄핵 정국, 증시 연중 최저·환율 급등

▲ 파이낸셜뉴스 = 정국불안에 무너진 증시… 나흘간 144조 증발

▲ 한국경제 = 환율·증시 '블랙먼데이' … 경제 삼키는 탄핵 정국

▲ 전국매일 = 韓증시, 계엄·탄핵 정국에 4거래일 연속 '低低低'

▲ 경기신문 = '상설특검' 법사위 통과… 옥죄는 野-흔들리는 與

▲ 경기일보 = 도정도 의회도 멈췄다… 경기도 '시계 제로'

▲ 경인일보 = 국가 비상사태에도… 정치는 없고, 정쟁만 있다

▲ 기호일보 = 사상 초유 현직 대통령 구속수사 현실화 되나

▲ 신아일보 = 검·경·공수처 수사권 다툼 속 사상 초유 현직 대통령 출국금지

▲ 인천일보 = 타오른 촛불민심 인천에 옮겨붙다

▲ 일간경기 = 김동연 '계엄 외교 파장 줄이기' 통했다

▲ 중부일보 = 대통령 윤석열 '출국금지'

▲ 현대일보 = 도내 농수산물 소비촉진 방안 개선 시급하다

▲ 강원도민일보 = 이제 시간과 싸움… 윤 조기퇴진 방법론 셈법복잡

▲ 강원일보 = 도내 곳곳 "尹 퇴진" 시위 확산

▲ 경남도민신문 = 법무부, 윤 대통령 출국금지…공수처 등 요청

▲ 경남도민일보 = 콘서트장 같은 탄핵 촉구 집회 "신나고 힘 난다"

▲ 경남매일 = '계엄 정국 불확실성' 경남 경제 불안

▲ 경남신문 = 박 지사 "지역경제 안정 위해 가용수단 총동원"

▲ 경남일보 = 계엄 악재 딛고 경남 K-방산 비상하라

▲ 경북매일 = 현직 대통령 최초로 '윤석열 출국금지'

▲ 경북신문 = 구미서 대구까지 30분대…대구경북 공동생활권 시대 열린다

▲ 경북일보 = "美·日 새 리더와 공조 강화…통일에 국익 반영 극대화해야"

▲ 경상일보 = 사상 첫 현직대통령 출국금지…尹 수사 속도

▲ 국제신문 = 하야·개헌 퇴진로드맵 격론… 휘청대는 與

▲ 대경일보 = 野 '예산 칼날'에 영일만대교마저…

▲ 대구신문 = '내란·직권남용죄' 혐의 尹 대통령 출국금지

▲ 대구일보 = '내란 혐의' 윤 대통령 헌정사 첫 '출국금지'

▲ 매일신문 = 침묵의 尹, 헤매는 與, 폭주 巨野…국민들 대혼돈

▲ 부산일보 = 길 잃은 '조기 퇴진론' … 14일 '2차 탄핵' 변수

▲ 영남일보 = 出禁에 체포 검토 尹 조이는 수사망

▲ 울산매일 = '탄핵 정국' 급물살

▲ 울산신문 = 與 퇴진 로드맵 표류…野 쌍끌이 압박

▲ 울산제일일보 = 울산 팔등로에 전국 최초 '기부거리'

▲ 창원일보 = KAIㆍ방사청, 한국형 전투기 KF-21 PBL 계약 체결

▲ 광남일보 = "대통령 탄핵"…들불처럼 번지는 분노

▲ 광주매일신문 = "5·17-12·3 '쌍둥이 포고령'…尹 '5월정신 계승' 새빨간 거짓"

▲ 광주일보 = 피의자 윤석열 현직 대통령 첫 출국금지…긴급체포하나

▲ 남도일보 =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의 날' 밝았다

▲ 전남매일 = 민주당, 내란 특검법·네번째 김건희 여사 특검법 전격 발의

▲ 전라일보 = 탄핵정국 속 전북 대형현안 차질 우려

▲ 전북도민일보 = 현직 대통령 첫 출국금지… 尹 조여오는 수사망

▲ 전북일보 = 첫발도 못 뗀 '윤 정부 지방시대'

▲ 금강일보 = 압박 수위 높이는 野 … 갈피 못 잡는 與

▲ 대전일보 = 쇠퇴하는 민주주의, 후퇴하는 민생경제

▲ 동양일보 = 쪼개기 특검에 국정조사까지… 尹 옥죄는 野

▲ 중도일보 = 탄핵정국 속 지방자치 역할론 커져… '민생 안정' 최우선

▲ 중부매일 = 尹 대통령 충청권 지지율 첫 10%대로 추락

▲ 충남일보 = 대전 첨단 바이오 기업 글로벌 진출 날개 달았다

▲ 충북일보 = '하야' vs '탄핵' 퇴진 방식 격론

▲ 충청도민일보 = 탄핵 정국속 '충청권發 상원제' 떠오르나

▲ 충청매일 = 단일대오 외치지만 "상황 답답"

▲ 충청신문 = 서부내륙고속도로 '부여~평택' 개통… 16년 만에 마침표

▲ 충청일보 = 충북도, 탄핵 정국 대응 전략 '고심'

▲ 충청타임즈 = 탄핵정국에 '장사' 없다

▲ 삼다일보 = 제주 가계 빚 7593만원 31% 역대 최대폭 증가

▲ 제민일보 = 항의-침묵…제주정가 탄핵 부결 후폭풍

▲ 제주매일 = 탄핵소추안 자동 폐기에 성난 민심 "탄핵이 답이다"

▲ 제주일보 = 제주 4·3을 '제주폭동'으로 왜곡

▲ 한라일보 = "생각 바꾸면 뭔들 못하겠습니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