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2027년부터 해야 합리적…정부, 연내 대책 내놔야"

국회 '의학교육 정상화 토론회'…"빨라도 2037년부터 의사 부족, 정부 오판"

 의대 정원 확대는 2027학년도부터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학계 주장이 나왔다.

 오주환 서울의대 교수는 24일 더불어민주당 보건의료특별위원회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내란극복, 국정안정을 위한 의학교육 정상화 토론회'의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오 교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로 의사 수가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의 판단은 '오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의대를 다닐 때 배출된 의사 수는 지금 배출되는 의사 수보다 훨씬 적다"며 "이들의 퇴장은 의사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은퇴 연령이 늦춰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사 수는 오히려 증가한다"고 말했다.

 또 "'1분 진료'로 나타나는 의사와 환자 간 소통 시간 부족은 진료보다는 혈액이나 영상 검사 처방을 늘리는 것이 의료기관의 수익에 유리한 현행 수가체계의 문제"라며 "의사 수 부족의 결과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오 교수는 서울대병원-서울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실시한 의사 수 추계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의대 증원은 2027학년부터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오 교수는 "향후 5년간 의대 정원을 동결하거나 매년 250명, 500명, 750명, 1천명씩 증가시키는 5가지 시나리오에 따르면, 모든 경우 2035년까지는 의사 공급이 초과하고, 의대 정원을 동결하는 경우 2037년부터 공급 부족이 시작된다"며 "정부의 예상처럼 2035년까지 의사 인력 공급이 부족한 경우는 없다"고 했다.

 이어 "의사 공급 부족은 2037년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는 2027학년도 의대 입학정원부터 조절하면 된다"며 "지금이 아니면 안 된다는 (정부의) 주장은 틀렸다"고 덧붙였다.

 오 교수는 정부의 오판으로 이미 증원분을 반영한 내년도 의대 입시가 진행되고 있어 의학 교육 파행은 불가피하다면서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그는 "교육부는 이 파행을 책임져야 한다"며 "올해 휴학생과 내년 신입생이 2025년 이후 수련을 마칠 때까지 10년간의 교육의 질을 보장할 합리적인 계획을 연내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도 "각 대학은 의대생을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며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이월을 중단하거나 갭이어(gap year) 등을 통해 학생을 분산하는 방법이 있다"고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