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2027년부터 해야 합리적…정부, 연내 대책 내놔야"

국회 '의학교육 정상화 토론회'…"빨라도 2037년부터 의사 부족, 정부 오판"

 의대 정원 확대는 2027학년도부터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학계 주장이 나왔다.

 오주환 서울의대 교수는 24일 더불어민주당 보건의료특별위원회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내란극복, 국정안정을 위한 의학교육 정상화 토론회'의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오 교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로 의사 수가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의 판단은 '오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의대를 다닐 때 배출된 의사 수는 지금 배출되는 의사 수보다 훨씬 적다"며 "이들의 퇴장은 의사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은퇴 연령이 늦춰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사 수는 오히려 증가한다"고 말했다.

 또 "'1분 진료'로 나타나는 의사와 환자 간 소통 시간 부족은 진료보다는 혈액이나 영상 검사 처방을 늘리는 것이 의료기관의 수익에 유리한 현행 수가체계의 문제"라며 "의사 수 부족의 결과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오 교수는 서울대병원-서울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실시한 의사 수 추계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의대 증원은 2027학년부터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오 교수는 "향후 5년간 의대 정원을 동결하거나 매년 250명, 500명, 750명, 1천명씩 증가시키는 5가지 시나리오에 따르면, 모든 경우 2035년까지는 의사 공급이 초과하고, 의대 정원을 동결하는 경우 2037년부터 공급 부족이 시작된다"며 "정부의 예상처럼 2035년까지 의사 인력 공급이 부족한 경우는 없다"고 했다.

 이어 "의사 공급 부족은 2037년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는 2027학년도 의대 입학정원부터 조절하면 된다"며 "지금이 아니면 안 된다는 (정부의) 주장은 틀렸다"고 덧붙였다.

 오 교수는 정부의 오판으로 이미 증원분을 반영한 내년도 의대 입시가 진행되고 있어 의학 교육 파행은 불가피하다면서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그는 "교육부는 이 파행을 책임져야 한다"며 "올해 휴학생과 내년 신입생이 2025년 이후 수련을 마칠 때까지 10년간의 교육의 질을 보장할 합리적인 계획을 연내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도 "각 대학은 의대생을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며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이월을 중단하거나 갭이어(gap year) 등을 통해 학생을 분산하는 방법이 있다"고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적정 의사 수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 완료…내달 초 첫 회의
보건복지부는 31일 향후 의사인력이 얼마나 필요한지 추계하는 독립 심의기구인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위해 보건의료 공급자단체, 수요자단체, 학회·연구기관 등 21개 관련 단체·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전문가를 추천받았고, 이 가운데 전문성 등을 고려해 위원 15명을 위촉했다. 15명의 위원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등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8명,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등 수요자 단체 추천위원이 4명,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은 3명이다.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과반을 차지한다. 수급추계위원장은 추후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호선할 예정이다. 수급추계위원회는 8월 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중장기 의사 인력 수급추계를 위한 모형, 방법, 가정, 변수 등 구체적인 사항을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향후 위원회 일정 등은 1차 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정한다. 복지부는 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해 수급추계의 전문성·독립성·투명성과 추계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의사인력 수급추계는 2027년 이후 의대 정원 결정과 의사인력 정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