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광고·스폰서십 금지하면 흡연 시작할 확률 37% 감소"

호주 연구팀 "흡연 유지 확률 20% 감소…전면 금지 시행 필요"

  담배 제품의 광고·판촉·스폰서십(TAPS)을 금지하면 사람들이 흡연을 시작할 확률이 37% 감소하고 흡연을 지속할 확률은 20%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그리피스대 레오폴드 아민데 교수팀은 담배 제품의 광고·판촉·스폰서십(TAPS) 금지가 흡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기존 논문 16편을 메타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국제적으로 TAPS 금지를 더 광범위하게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에 더욱 힘을 실어준다며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더 많은 국가가 이런 정책을 채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흡연은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예방할 수 있는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2019년에는 약 12억 명이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고 770만 명이 흡연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세계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Medline, EMBASE, Scopus, Cochrane Library and Web of Science databases)에 2024년 4월까지 발표된 TAPS 금지와 흡연에 관한 논문 중 영어로 출판되고 참가자가 50여만명인 논문 16편을 선별해 재검토했다.

 그 결과 TAPS를 금지하면 사람들이 새로 흡연을 시작할 확률이 37% 줄어들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흡연을 지속할 확률은 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PS 금지와 흡연 유지 확률 간 연관성은 평가 기간에 따라 달랐다. TAPS 금지의 영향을 5년 미만 동안 평가한 연구에서보다 5~10년간 조사한 연구에서 흡연율 감소 효과가 더 컸다.

 그러나 TAPS 금지와 금연 사이에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TAPS 금지와 금연 관계를 평가한 연구 수가 적고 해당 연구에서 자연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대부분 관찰 연구로 인과 관계 추론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이 결과는 TAPS 금지가 흡연을 시작하거나 지속할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결과를 고려할 때 포괄적인 TAPS 금지가 흡연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며 "흡연과 그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각국이 담배 광고·판촉·스폰서십 금지 조치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Tobacco Control, Christina Saad et al., 'Effectiveness of tobacco advertising, promotion and sponsorship bans on smoking prevalence, initiation and cess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tobaccocontrol.bmj.com/lookup/doi/10.1136/tc-2024-05890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