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 부담 주는 암치료…운동하면 심장병 위험 낮춘다

삼성서울병원 연구…운동 않는 집단보다 심근경색·심부전 위험 11∼20%↓

 암 진단 후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거나 시작하면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질환 위험이 20%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암을 치료할 때 쓰는 약이나 방사선 등은 심장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암 환자는 심장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데, 운동이 심장질환 위험을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암환자삶의질연구소 신동욱 교수 연구팀(1저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원영 박사 및 암치유센터 조인영 교수, 공동 교신저자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10∼2016년 암을 진단받은 26만9천943명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을 암 진단 전후 규칙적으로 운동한 집단(2만7천186명), 운동을 시작한 집단(4만4천852명), 운동을 중단한 집단(3만649명), 암 진단 전후 모두 운동하지 않은 집단(16만7천256명)으로 나눠 비교했다.

 암 진단 전후 규칙적으로 운동한 집단은 아예 운동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은 20%, 심부전 위험은 16% 감소했다.

 암 진단 후 새로 운동을 시작하는 것도 긍정적이었다. 아예 안 하는 경우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은 11%, 심부전 위험은 13% 줄었다.

 암 진단 후 운동을 중단했더라도 이전에 규칙적으로 운동했다면 이 역시 심장질환 위험을 낮췄다.

 심근경색과 심부전 위험은 각각 20%와 6% 낮았다. 앞서 운동을 열심히 한 덕분에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연구팀은 규칙적인 운동이 암 환자의 심장질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보여준다며, 암 진단 후에도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운동하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심장종양학(JACC: Cardio-Oncology)'에 게재됐다.

[표] 암 진단 전후 운동 여부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구 분 비활동 유지 운동→비활동 비활동→운동 운동 유지
대상 16만7천256명
(62%)
3만649명
(11.4%)
4만4천852명
(16.6%)
2만7천186명 (10.1%)
심근경색 기준 20% 감소 11% 감소 20% 감소
심부전 6% 감소 13% 감소 16% 감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급중단 항암제, 환자가 수입하는 현실…"세금도 환자몫"
50대 정모(여)씨는 간헐적이던 복부 통증이 작년 6월부터 온종일 계속될 정도로 심해지자 병원을 찾았다. 초음파 촬영을 한 동네병원에서는 복부 장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큰 병원에 가보라 했고, 서울 A대학병원에서는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통해 부신피질암으로 최종 진단했다. 흔히 부신암으로 부르는 부신피질암은 우리 몸속 2개의 신장 위쪽에 위치한 부신이라는 기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부신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을 생산하는 기능을 하는 조직이다. 부신암은 악성도가 높아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 혈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전이가 쉽게 발생하는 편이다. 의료진은 정씨의 종양 크기를 줄이는 치료와 동시에 항암제 '리소드렌'(성분명 미토테인)을 함께 처방했다. 리소드렌은 2001년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수술이 불가능한 기능성 및 비기능성 부신피질암 환자 치료용 항암제로 허가를 획득했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재련 교수는 "리소드렌은 부신암 환자의 치료에 꼭 필요한 항암제로, 현재 국내외를 통틀어 대체 의약품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부신암은 2020년 기준으로 연간 253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