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104/art_17374990639491_36a685.jpg)
설 연휴를 앞두고 전국적으로 독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2016년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독감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인구 1천명당 독감 증상을 보인 의심 환자는 지난해 12월 첫째 주 7.3 명에서 올해 첫째 주 99.8명으로 한 달 만에 14배가량 증가하며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데요.
심경원 이대 목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A형 중에 두 종류의 바이러스가 있어서 독감을 앓았는데 얼마 안 있다가 또 독감에 걸리는 경우도 많다"면서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 등으로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면서 바이러스 자체에 대한 면역력이 감소한 데다가 기후 변화 등으로 새로운 바이러스가 출현한다든지, 또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듭해 전염력이 향상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독감은 감염자의 분비물을 통해 확산하는데요. 감염자가 만진 물체와 접촉해 전파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독감은 감기와 비슷하게 기침과 인후통을 유발하지만, 고열과 오한, 근육통을 동반하는 특징이 있는데요.
심경원 교수는 "감기의 경우는 보통 2∼3일 이후에 증상이 없어지거나 경미해지는 데 비해서 독감은 치료하지 않는 경우 일주일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뇌장애, 심근염이나 심낭염과 같은 더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외출 시엔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 손 씻기를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겨울철 춥고 건조한 날씨는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옷을 여러 겹 입어 체온을 유지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무엇보다 예방접종이 독감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하는데요.
이미 접종했더라도 3개월 정도 지났다면 필요에 따라 추가 접종이 가능합니다.
만약 호흡기 증상과 함께 두통이나 발열이 있다면 곧바로 검사받아야 하는데요.
심경원 교수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해야 하는 데 중요한 건 48시간 이내에 투여할 때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바로 치료하는 것이 증상을 약하게 하는 것은 물론 합병증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설 연휴 동안 병의원과 약국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이젠'(E-GEN) 앱이나 네이버, 카카오 지도 앱에서 문을 여는 가까운 병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병원에 갈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해 해열제, 기침약 등 상비약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심경원 교수는 "연휴이기 때문에 해열제를 꼭 구비해 놓는 것이 좋겠다"면서 "증상이나 질환에 따라 비염 약이나 기관지 확장제, 기침약 등을 구비해 놓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설 연휴 기간에 무리하지 않고 충분한 휴식, 풍부한 영양 섭취가 도움이 되겠다"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