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으로 척추수술 환자 보행 재활…일상 수행능력 39% 향상

강남세브란스, 로봇보조보행훈련 전후 변화 조사…낙상 공포 사라져 만족

 척추 수술 후 환자의 보행 재활 훈련에 로봇을 활용했을 때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낙상 공포가 사라진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재활 훈련에 임하면서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훈련 전보다 평균 39% 향상됐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박중현 교수 연구팀은 2023년 6월부터 그해 12월까지 이 병원에서 척추 수술을 받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로봇 보조 보행 훈련(RAGT)의 효과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환자들은 수술 후 평균 17.9일 만에 로봇 보조 보행 훈련에 돌입해 특별한 부작용 없이 재활을 마쳤다.

 연구 결과 환자 보행 능력을 평가·분류하는 기능적 보행지수(FAC)는 훈련 전 2.65점에서, 훈련 완료 후 3.78점으로 상승했다.

 훈련 후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인위생, 의복 착용, 식사하기 등의 수행능력이 얼마나 수월해졌는지를 측정한 수정바델지수(MBI)는 훈련 전 7.69점에서 종료 후 10.66점으로 평균 38.6% 개선됐다.

 만족도를 설문한 결과 5점 만점으로 로봇 이용에 대해서는 3.30점, 로봇을 이용한 보조 보행 훈련 자체는 3.72점, 치료 전반에 대해선 3.08점을 메겼다.

 환자들은 로봇을 이용한 보조 보행 훈련 시 낙상에 대한 공포가 감소한다는 데 가장 크게 만족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박중현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로 로봇 보조 보행 훈련에 대한 효과를 명확하게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로봇 재활이 유의미한 성과를 보임에 따라 앞으로 지속적인 프로토콜 개선, 맞춤형 로봇 개발, 효과 검증이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메디신'(Frontiers in Medicine)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