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증원' 정부대응 정당 20.6% …의사대응 정당 12.8%

서울대 보건대학원 국민인식조사…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의 대응 방식은 절차적 정당성이 부족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은 12일 '보건의료 개혁의 동력,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작년 12월 20∼24일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건의료 개혁 정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2월 발표한 4대 의료 개혁 과제에 대한 동의 수준은 지역의료 강화(76.3%), 의료사고 안전망(69.0%), 공정보상(63.3%), 의료인력 확충(61.0%) 등으로 높게 나타났다.

 의사 대응의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여론은 좀 더 싸늘했다.

 의정갈등 과정에서 의사의 대응은 정당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모두 정당함'은 12.8%에 그쳤다.

 '부분적으로 정당함'은 47.3%이었고, '모두 정당하지 못함'은 34.3%나 됐다. '모르겠음, 생각해본 적 없음'은 5.6%였다.

 정당하지 못한 의사의 대응으로는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해 전공의가 집단사직한 것'이 61.0%로 가장 많았다.

 그 밖에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반대해 의대생이 집단 휴학한 것'(18.0%), '의대 증원이 적법하다는 대법원 판결에 불복한 것'(9.9%), '학사일정 확정 이후에도 2025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주장한 것'(8.9%) 등을 꼽았다.

 정책 추진에 대한 정부와 의사단체에 대한 국민 신뢰는 대체로 낮았다.

 '정부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민과 환자를 최우선으로 여길 것'이라는 진술에 '그렇다'는 27.9%, '그렇지 않다'는 42.8%였다.

 의사집단에 대한 같은 진술에 '그렇다'는 17.0%였고, '그렇지 않다'는 53.7%였다.

 정경실 보건복지부 의료개혁 추진단장은 "1년 동안 갈등을 겪으면서 제대로 된 제도를 만들어서 시스템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이상 이런 갈등이 계속되고 정부와 의사 집단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점점 더 떨어질 것이라는 문제의식이 생겼다"며 "그런 측면에서 가장 큰 갈등 사안인 의사 인력을 의사 수급 추계위원회 법제화를 통해 제도화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작년 2월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냈을 때 정부는 각종 행정명령을 냈고 실제 서울아산병원에 경찰이 오기도 했기 때문에 전공의들은 도망갈 수밖에 없었다"며 "병원을 나간 전공의들은 현재 나름대로 하고 싶은 것을 하는 상황이라 (다수가 복귀하지 않을 것 같아서)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의사 출신인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의사 집단 내부에서 '우리 주장이 맞다'고 반복하기보다는 국민과 다른 이해 당사자를 설득하고 상대의 입장에 귀를 기울이는 의사소통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