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차보험 경상환자 치료비 또 늘어…한방이 양방 증가율 4배

경상환자 인당 치료비 1년만에 도로 증가…"진료비 세부심사기준 마련돼야"

 작년 자동차보험 경상환자 치료비가 또 늘어났다.

 한방병원 치료비 증가율은 양방 치료비 증가율의 4배에 달했다.

 27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 등 4개사의  자동차 사고 경상환자(12∼14급) 치료비는 약 1조3천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자동차보험 경상환자의 인당 치료비는 2023년 사고일 4주 이후 2주마다 보험사에 진단서를 내도록 한 제도개선 방안이 도입된 이후 0.6% 감소했다가 작년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진단서를 반복해서 발급하는 병원들이 생기면서 제도가 유명무실해진 탓이다.

 특히 한방병원의 과잉 진료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작년 양방병원의 치료비가 약 2천725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어난 데 비해 한방병원의 치료비는 약 1조323억원으로 8.6% 불어나서 증가율이 거의 4배에 달했다.

 경상환자의 한방병원 쏠림이 심화하면서 한방병원을 찾은 경상환자는 2021년 89만명대에서 작년 101만명대로 크게 늘었다.

 양방병원을 찾은 경상환자는 2021년 87만명대에서 매년 줄어 작년 82만명대를 기록했다.

 작년 한방의 인당 치료비는 101만7천원으로 양방(32만9천원)의 3배가 넘었다.

 일부 한방병원이 증상이나 사고 정도와 무관하게 침술·첩약·추나 등 다양한 처치를 일괄 시행하는 '세트치료'로 진료비 규모를 키운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시민단체 '소비자와함께'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차보험 관련 인식조사에 따르면, 75%는 이러한 세트 청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약 82%가 경미한 자동차 사고시 피해 상대방이 한방의료기관에서 입원치료를 받는 데 부정적이라고 답했고, 62%는 이러한 한방진료비 증가가 자동차보험료 인상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며 이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박사는 "양방진료 대비 한방진료의 수가 기준 등이 불분명한 부분이 많아 보험금 누수가 발생하는 측면이 있다"며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시 세부적인 심사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표] 자동차사고 경상환자 치료비 발생통계 (4개사 합산, 단위: 명, 천원)

 

구 분 2021 2022 2023 2024
12~14급 12~14급 전년대비 증가율 12~14급 전년대비 증가율 12~14급 전년대비 증가율
한방 인원 893,519 959,598 7.4% 987,036 2.9% 1,015,231 2.9%
치료비 826,724,795 931,079,665 12.6% 950,934,306 2.1% 1,032,330,279 8.6%
인당 치료비 925 970 4.9% 963 -0.7% 1,017 5.5%
양방 인원 873,323 840,566 -3.8% 830,942 -1.1% 828,691 -0.3%
치료비 290,336,585 276,475,124 -4.8% 266,600,784 -3.6% 272,459,502 2.2%
인당 치료비 332 329 -1.1% 321 -2.5% 329 2.5%
합계 인원 1,416,294 1,441,762 1.8% 1,462,263 1.4% 1,486,134 1.6%
치료비 1,117,061,380 1,207,554,790 8.1% 1,217,535,089 0.8% 1,304,789,781 7.2%
인당 치료비 789 838 6.2% 833 -0.6% 878 5.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검사 뒤에 숨은 수십 년 관행, 정부가 칼 뺐다
병원에서 흔히 받는 피검사나 소변검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인 이 검사들의 신뢰도를 위협하는 수십 년 묵은 관행에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검사를 의뢰하는 동네 병의원과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검사센터 사이의 비정상적인 비용 정산 구조를 바로잡아, 최종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무시한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해묵은 관행 개선을 둘러싼 진통이 예상된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논란이 돼온 검체검사 위탁검사관리료(이하 위탁관리료)를 폐지하고, 위탁기관(병의원)과 수탁기관(검사센터)이 검사 비용을 각각 청구하는 '분리 청구'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이르면 다음 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문제의 핵심은 병의원과 검사센터 간의 고질적인 비용 정산 관행이다. 현재 건강보험은 혈액검사 등에 드는 비용(검사료)의 110%를 검사를 의뢰한 병의원에 지급한다. 병의원은 이 중 10%의 관리료를 제외한 100%를 검사를 진행한 검사센터에 보내주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검사센터가 병의원과의 계약을 위해 이 검사료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