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차보험 경상환자 치료비 또 늘어…한방이 양방 증가율 4배

경상환자 인당 치료비 1년만에 도로 증가…"진료비 세부심사기준 마련돼야"

 작년 자동차보험 경상환자 치료비가 또 늘어났다.

 한방병원 치료비 증가율은 양방 치료비 증가율의 4배에 달했다.

 27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 등 4개사의  자동차 사고 경상환자(12∼14급) 치료비는 약 1조3천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자동차보험 경상환자의 인당 치료비는 2023년 사고일 4주 이후 2주마다 보험사에 진단서를 내도록 한 제도개선 방안이 도입된 이후 0.6% 감소했다가 작년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진단서를 반복해서 발급하는 병원들이 생기면서 제도가 유명무실해진 탓이다.

 특히 한방병원의 과잉 진료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작년 양방병원의 치료비가 약 2천725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어난 데 비해 한방병원의 치료비는 약 1조323억원으로 8.6% 불어나서 증가율이 거의 4배에 달했다.

 경상환자의 한방병원 쏠림이 심화하면서 한방병원을 찾은 경상환자는 2021년 89만명대에서 작년 101만명대로 크게 늘었다.

 양방병원을 찾은 경상환자는 2021년 87만명대에서 매년 줄어 작년 82만명대를 기록했다.

 작년 한방의 인당 치료비는 101만7천원으로 양방(32만9천원)의 3배가 넘었다.

 일부 한방병원이 증상이나 사고 정도와 무관하게 침술·첩약·추나 등 다양한 처치를 일괄 시행하는 '세트치료'로 진료비 규모를 키운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시민단체 '소비자와함께'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차보험 관련 인식조사에 따르면, 75%는 이러한 세트 청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약 82%가 경미한 자동차 사고시 피해 상대방이 한방의료기관에서 입원치료를 받는 데 부정적이라고 답했고, 62%는 이러한 한방진료비 증가가 자동차보험료 인상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며 이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박사는 "양방진료 대비 한방진료의 수가 기준 등이 불분명한 부분이 많아 보험금 누수가 발생하는 측면이 있다"며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시 세부적인 심사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표] 자동차사고 경상환자 치료비 발생통계 (4개사 합산, 단위: 명, 천원)

 

구 분 2021 2022 2023 2024
12~14급 12~14급 전년대비 증가율 12~14급 전년대비 증가율 12~14급 전년대비 증가율
한방 인원 893,519 959,598 7.4% 987,036 2.9% 1,015,231 2.9%
치료비 826,724,795 931,079,665 12.6% 950,934,306 2.1% 1,032,330,279 8.6%
인당 치료비 925 970 4.9% 963 -0.7% 1,017 5.5%
양방 인원 873,323 840,566 -3.8% 830,942 -1.1% 828,691 -0.3%
치료비 290,336,585 276,475,124 -4.8% 266,600,784 -3.6% 272,459,502 2.2%
인당 치료비 332 329 -1.1% 321 -2.5% 329 2.5%
합계 인원 1,416,294 1,441,762 1.8% 1,462,263 1.4% 1,486,134 1.6%
치료비 1,117,061,380 1,207,554,790 8.1% 1,217,535,089 0.8% 1,304,789,781 7.2%
인당 치료비 789 838 6.2% 833 -0.6% 878 5.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한양행·JW중외도…'오가노이드' 활용 신약 개발 박차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인공 장기 '오가노이드'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다. 동물실험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이런 현상은 더 확산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오가노이드 기업 여러 곳을 협업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있다. 동물실험 및 오가노이드 활용 병행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전임상 시험 등에 필요한 동물실험을 한꺼번에 폐지하지는 않더라도 오가노이드를 투입해 이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는 취지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해 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이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의료기업 미국 템퍼스AI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항암 신약을 개발한다. 템퍼스AI는 실제 암 환자 종양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공하고, JW중외제약은 이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평가할 계획이다. 대웅은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 회사가 총괄하는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됐다. 이 과제를 통해 오가노이드 기술을 개발하고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상용화까지 추진하는 게 대웅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