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불안 상담도 AI 챗봇이?…"임상시험서 증상 개선 효과"

美 연구팀 "전문가 대면진료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 기대"

 우울증과 불안증 같은 정신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이 첫 임상시험에서 뛰어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다트머스대 니컬러스 제이컵슨 교수팀은 28일 의학 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AI(NEJM AI)에서 생성형 AI 기반 정신질환 치료 챗봇 '테라봇'(Therabot)이 우울·불안·섭식 장애 환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첫 임상시험에서 상당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임상시험 후 환자들은 테라봇을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신뢰하고 소통할 수 있다고 답했다며 이는 정신건강 전문가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AI 기반 치료를 제공하는 게 가능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불안 장애를 가진 사람이 테라봇에게 "최근 너무 긴장되고 압도되는 기분이 든다"고 말하면 테라봇은 "한걸음 물러서서 왜 그렇게 느끼는지 생각해 봅시다"라고 응답할 수 있다.

 또 자살 충동 같은 내용이 감지되면 즉시 연결할 수 있는 자살 예방 핫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테라봇의 첫 임상 시험은 주요 우울 장애(MDD)와 범불안 장애(GAD), 또는 섭식 장애(ED) 진단을 받은 106명을 대상으로 8주간 진행됐다.

 이들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테라봇과 문자로 자신의 감정에 대한 질문에 답하거나 원하는 대화를 했다.

 연구팀은 8주간 테라봇을 사용한 후 참가자들의 증상을 검사한 결과 주요 우울 장애는 증상이 평균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분과 전반적 심리 상태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또 범불안 장애는 증상이 평균 31% 줄었고, 이들 중 다수가 중등도 불안에서 경도 불안으로, 경도 불안에서 임상 진단 기준 미만으로 증상이 개선됐다.

 전통적으로 치료가 더 어려운 섭식 장애의 경우 체형·체중에 대한 걱정이 평균 19% 감소했으며, 이는 테라봇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감소율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중요한 것은 환자들과 테라봇 사이에 성공적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신뢰·협력 관계인 '치료 동맹'(therapeutic alliance)이 대면 의료진과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됐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치료 동맹은 환자와 치료자 간의 신뢰 및 협력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공적 치료를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제이콥슨 교수는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증상 개선 효과는 기존의 외래 치료에서 보고된 것과 유사하다"며 "이는 AI 기반 치료 챗봇이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혜택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AI 치료 챗봇이 정신건강 전문가 대면 치료를 대체할 수는 없지만,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AI 챗봇이 대면진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의 정신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NEJM AI, Nicholas Jacobson et al., 'A Clinical Trial on a Generative AI Chatbot for Mental Health Treatment', http://dx.doi.org/10.1056/AIoa240080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