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40곳 중 38곳 '전원 복귀'…1년 만에 학사 정상화 목전

인제대·한림대 제외 의대생 모두 복학…'전원' 기준 충족할 듯
관건은 '실제 수업 참여' 여부…당국, 이르면 내주 내년 모집인원 발표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31일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가운데 38개 의대 학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작년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반발하며 집단휴학으로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1년여 만에 정상화를 목전에 뒀다.

 '전원 복귀' 의대에서 빠진 2곳은 인제대와 한림대다.

 이들 학교는 현재로선 학생들이 모두 돌아올지 아닐지 파악이 어려운 상태로 알려졌다.

 두 대학을 제외하더라도 40개 의대 중 95%에 해당하는 38개 대학의 학생들이 모두 돌아온 만큼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을 약속하면서 전제한 '이달 내 전원 복귀'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교육부 역시 전원의 의미에 대해 100%가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정부는 등록 자체가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이어서 관건은 학생들이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강의를 실제로 듣느냐에 달렸다.

 교육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발표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지켜본 뒤 이르면 다음 주에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학생들이 복학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에 불참한다면 진짜로 복귀하지 않았다고 판단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천58명이 유지된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 볼 수 없다"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