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의료도 열풍' 작년 외국인환자 117만명 역대 최다…전년 2배로

생산유발효과 14조원 전망…국적은 일본, 진료과는 피부과 비중 가장 커

 작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 수가 전년의 2배로 늘며 역대 최다인 117만여명을 기록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 현황'을 공개했다.

 작년 한 해 202개 국가의 외국인 환자 117만467명이 우리나라를 찾았다. 2023년 60만5천768명에 비해 93.2%가량 늘어난 수치며, 2009년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이 시작된 이래 최대 실적이다.

 2009∼2019년 외국인 환자 수는 6만201명에서 49만7천464명으로 연평균 23.5% 증가했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11만7천69명으로 급감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인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4만5천842명, 24만8천110명에 머물다가 2023년에 회복에 성공해 코로나19 유행 전보다 더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2024년까지 16년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누적 504만7천809명이다.

2009∼2024년도 연도별 외국인 환자 수 (단위:명)

 작년 방문 환자를 국적별로 보면 일본 환자가 44만1천112명(37.7%)으로 가장 많았다.

 일본은 2023년에도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26만641명(22.3%), 미국 10만1천733명(8.7%), 대만 8만3천456명(7.1%), 태국 3만8천152명(3.3%) 순이었다.

 복지부는 특히 전년 대비 대만 환자가 550.6%, 일본과 중국이 각각 135.0%, 132.4% 증가했으며 주로 피부과 방문 환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경우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환자가 한국을 방문했다.

 미국은 피부과·내과통합·검진센터가 각각 33.0%, 14.3%, 9.7%를 차지해 다른 지역 대비 진료과목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도 주요 국적별 외국인 환자 비중(단위:명,%)

 전체 환자를 진료과별(중복 포함)로 보면 피부과가 70만5천44명(56.6%)으로 가장 많았다.

 성형외과 14만1천845명(11.4%), 내과통합 12만4천85명(10.0%), 검진센터 5만5천762명(4.5%), 한방통합 3만3천893명(2.7%)이 뒤를 이었다.

 정부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외국인의 높은 호감도, 한국 피부 시술의 가격 경쟁력, 한류 팬 관광 증가 등이 피부과 성황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99만9천642명(85.4%)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 비중이 82.0%였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3년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에 힘입어 2027년 유치 목표였던 70만 명을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며 정부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제 의료 행사와 국가 협력을 통해 암·심장질환·척추·난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의료 우수성을 알리고 진료과목을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부터는 외국인 환자 유치 실태조사를 진행해 진료비 규모와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한다.

 정부는 외국인 환자 급증으로 인한 피부·성형외과 매출 증가가 필수의료 인력 이탈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는 "국내 의료기관 이용에서 외국인 환자 비율은 0.1% 수준으로 전체 의료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