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일 조간)

▲ 경향신문 = 역대 1위 기록 다 바뀐 '한반도 기후보고서'의 경고

생활물가 들썩, '고환율 베팅' 최상목이 잡을 수 있나

관세 전쟁에 금융 불안한데, 무책임한 금감원장 사의 표명

탄핵 선고 앞두고 긴장 고조… 불법 폭력 단호히 대처해야

▲ 동아일보 = 野 "더 센 상법 개정 추진"… 자본시장법 바꾸면 될 일을 왜 굳이

수업 불참하는 의대생… '무늬만 복귀'에 더는 특혜 없어야

첨단무기, 원전, 소고기… 상식 밖 美 '비관세 장벽' 뭘 노리나

▲ 서울신문 = 가계부채에 물가 상승까지… 스태그플레이션 선제 대응을

대만해협 긴장, "金과 뭔가 할 것"… 심상찮은 안보 파고

정치권 선동 접고, 정부는 불상사 없게 만반 대비를

▲ 세계일보 = 여야, 尹 탄핵 선고 앞두고 불복·폭력 부추겨선 안 돼

'전략지침'과 달리 한·미·일 북핵 대응 강조한 美 합참의장

내수 최악인데도 물가는 들썩, 선제대응 나서야

▲ 아시아투데이 = 정치권, 사회 혼란 초래하는 언행 자중하라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를 예상하는 이유

▲ 조선일보 = 이제 李 재판 사실상 시늉만 내겠다는 판사들

尹·李 '불복 시위' 바라고 "승복" 선언 안 하나

45㎞ 송전선로 완공에 22년, 어떻게 AI 경쟁하나

▲ 중앙일보 = 국회, 승자독식 폐해 막을 '분권형 개헌' 논의 즉각 나서라

헌재 결정 불복 부추기는 위험한 선동 발언 멈춰야

▲ 한겨레 = 결국 닥친 트럼프 '복합 관세', 장기전 준비해야

탄핵심판 승복은 '국민' 아닌 '윤석열'이 하는 것이다

내란사태 영향 가공식품 물가, 정부 책임지고 나서라

▲ 한국일보 = 청소년 숏폼 과중독, 그냥 방치할 일 아니다

헌재 탄핵선고 불복은 국가 파괴 행위다

제대로 시행도 전에 미 관세 표적된 한국 IT 규제

▲ 글로벌이코노믹 = 저소득층 체감물가 주범은 식비·주거비

미 관세전쟁 청사진 '미란 보고서'의 함정

▲ 대한경제 = '적정공사비 산정기준' 개발, 건설 정상화에 기여

준공에 21년이나 걸린 40㎞짜리 송전선로

▲ 디지털타임스 = 90년전 '무역전쟁' 망령 소환 트럼프 관세, '사즉생' 각오 임해야

▲ 매일경제 = 챗GPT 이용자 5억명… 한국은 AI혁명 추종자로 남을것인가

가공식품 물가 들썩, 정국혼란 틈탄 얌체인상 없어야

"이제 국민의 시간"… 내일 韓 민주주의·시민의식도 시험대

▲ 브릿지경제 = 탄핵 정국 끝내고 부동산 법안들 바로 처리하라

▲ 서울경제 = 기업 경영 위축시키는 '더 센' 상법 개정 밀어붙일 때인가

與野 정년 연장 논의, 선거용 아닌 다양한 계속고용 방안 찾아라

세계 무역전쟁 발발 … 民官政 유기적 협력으로 파고 넘어야

▲ 이데일리 = 포문 연 글로벌 관세전쟁, 각자도생 시대의 생존법

임도건설·하천정비, 지자체 이양에 문제 있다

▲ 이투데이 = 이 시기에 '경제부총리 탄핵' 겁박, 해도 너무한다

▲ 전자신문 = 창경센터, 지역 창업허브로 거듭나야

▲ 파이낸셜뉴스 = 다시 물가상승을 경계할 때다

"유혈 사태" 운운이 바로 내란 선동 아닌가

▲ 한국경제 = 산불 이재민 속타는데 … 탄핵 선고 핑계로 추경 논의 중단한 여야

45㎞ 송전선로 건설에 21년 걸린 나라

억지투성이 美 무역 보고서 … 정교한 반박 논리로 무장할 때

▲ 경북신문 = 헌재 선고에 승복하고 통합하는 길 찾아야

▲ 경북일보 = 헌재 선고 앞 정치권이 불복·폭력 선동해서야

▲ 대경일보 = 산불 예방, AI 감시카메라 등 첨단 시스템 도입 서둘러야

국난극복 현장에서의 상왕정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학회 등 "전공의 조속히 복귀해달라…입영 연기 긴밀히 협의"
대한의학회와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은 사직 전공의들에게 조속한 복귀를 요청하며 미필 전공의들의 입영 연기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의학회와 수련병원협의회, 국립대학병원협회, 대한사립대학병원협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등 5개 단체는 20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정부의 전공의 5월 추가모집 조치를 환영하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보건복지부는 이들 단체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날부터 이달 말까지 수련병원별로 사직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모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했다. 의학회 등은 입장문에서 "전공의 수련 중단은 개개인의 경력 단절을 넘어 국민 건강과 의료의 지속가능성에 직결되는 중대한 사회적 과제"라며 "5월 특별모집은 의료인력 양성 체계 복원과 의료현장 회복의 중요한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이들은 그러면서 입대 문제 등 전공의 복귀 장애물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군미필 전공의가 복귀할 경우 수련을 완료한 후 병역을 이행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겠다"며 "군의관·공중보건의로 복무 중인 사직 전공의에 대해서는 병역 의무 종료 후 기존 수련병원으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사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옆구리 찌릿! 혹시 요로결석?…AI가 CT영상 분석해 찾아낸다
인공지능(AI)이 의료 분야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만으로 요로결석 진단을 돕는 AI 기술이 정부로부터 '혁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아 3년간 의료 현장에서 사용될 길이 열렸다. 정부가 특정 의료기술을 혁신의료기술로 지정하는 이유는 당장 임상적 필요성은 있지만 아직 연구 데이터가 부족한 새로운 기술에 대해 일정 기간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며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근거를 쌓을 기회를 주기 위해서다. ◇ AI, 비조영 CT 영상 속 요로결석 '콕' 집어낸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비조영 CT 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요로결석 진단 보조 기술'을 새로운 혁신의료기술로 최근 고시했다. 이 기술은 조영제 투여 없이 촬영한 복부 CT 영상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요로결석이 의심되는 부위의 유무, 크기, 위치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AI가 먼저 CT 영상을 샅샅이 훑어보고 '이곳에 이만한 크기의 결석으로 의심되는 부분이 있다'고 표시해주는 것이다. 이는 방대한 영상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해야 하는 영상의학과나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진단 과정을 보조해 판독 정확도를 높이고 시간을 단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