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수록 뱃살에 신경 써야…"10대 고혈압 위험 3배"

10∼18세 소아·청소년 1만5천명 분석…"저염식·운동으로 혈압 관리해야"

  비만은 고혈압의 발생 및 악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체지방량이 많아지면서 신장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승할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거나 신장의 나트륨 배설 능력을 떨어뜨리는 것도 혈압을 높이는 요인이다.

 이처럼 비만이 혈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은 아이들에겐 더 치명적이다.

 최근에는 소아·청소년의 비만 중에서도 복부비만이 고혈압 발생에 더 큰 위험 요인임을 보여주 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혜 교수 연구팀은 2007∼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18세의 과체중·비만 소아·청소년 1만1천554명을 상대로 분석한 결과 복부비만과 고혈압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메드 센트럴 소아과학'(BMC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참여자의 과체중·비만, 고혈압 유병률은 각각 25.11%, 10.46%였다. 하지만 과체중·비만에 해당하는 소아·청소년만 봤을 때는 고혈압 유병률이 17.6%로 더 높았다.

 과체중·비만 그룹의 고혈압 유병률이 전체 그룹보다 1.5∼2배가량 높았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허리둘레와 키의 비율(WHtR)이 0.5 이상인 경우를 복부비만으로 정의하고 복부비만이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별도로 살폈다.

 이 결과 복부비만인 소아·청소년은 복부비만이 없는 소아·청소년보다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런 경향은 남자 소아·청소년에서 두드러졌는데, 연구팀은 비만한 남자 소아·청소년이 복부비만을 동반했을 때의 고혈압 발생 위험이 복부비만이 없는 경우에 견줘 2.32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고도비만 상태에서 복부비만을 동반한 경우에는 같은 비교 조건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3.12배까지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탄산음료 등의 당 섭취 증가, 야외 놀이의 감소, 불규칙한 수면시간, TV와 컴퓨터 등 미디어 시청 시간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소아·청소년의 비만과 복부비만을 부추긴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대한비만학회가 집계한 통계를 보면 국내 소아·청소년의 복부비만 유병률(2021년 기준)은 남아가 2012년 대비 3.1배 증가한 22.3%, 여아가 1.4배 증가한 12.1%의 유병률을 각각 나타냈다.

 김성혜 교수는 "내장 지방이 과도해지는 복부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염증 반응 증가, 호르몬 조절 장애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전체적인 체형 비만보다 더 크게 혈압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기 고혈압을 막으려면 전체적인 체형 비만과 복부비만을 함께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복부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도 부모 중 고혈압 가족력이 있다면 어릴 때부터 혈압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부계 고혈압이 있는 아이들은 복부비만이 없어도 고혈압 발생률이 1.66배 증가했다"면서 "아동기에는 고혈압이 있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해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평소 저염식과 운동 등의 식생활 습관을 통해 비만과 복부비만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운동하는 학생 남 25%·여 9%…"학교밖 자원 연계해야 운동량↑"
우리나라 학생들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저조한 수준에 머무는 가운데 운동량을 늘리려면 학교 밖의 자원까지 연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수경 부연구위원은 9일 '학교 기반의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과제'에서 학생·학부모·이해관계자 등과 면담해 이런 결론을 냈다. 지난해 질병관리청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보면 대표적인 신체활동 지표인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학생 25.1%, 여학생 8.9%에 그쳤다. 2022년 같은 조사에서 학생들은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하는 주된 이유로 '재미있어서'(3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건강을 위해'(20.6%), '체중 감량을 위해'(16.4%) 등의 순이었다. 김 연구위원은 "신체활동은 학생들의 전반적 생활양식과 관련된 문제여서 체육 교과와 스포츠 활동 활성화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학교 체육만 활성화되면 학생들의 신체활동, 건강 수준 저하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식의 정책은 학생 건강을 교육 당국만의 소관이라고 인식되도록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학교 내 공간·시설·인력 부족과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 전략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으면서 "학교 안팎의 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