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이완규·함상훈 지명' 헌재 철퇴, 한덕수 사과하고 물러나라

대통령실 강제수사 나선 경찰, 내란 수사에 명운 걸라

실망스러운 경선판… 정치를 바꾸려는 의지가 안 보인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 동아일보 = "극심한 혼란 발생"… 헌재가 제지한 韓의 재판관 지명 '월권'

증원 1년 만에 포기, '트리플링' 현실화… 병만 키운 돌팔이 정책

"한반도+중국海 '원 시어터'로" … 日 영향력 확대 의도 경계해야

▲ 서울신문 = 日 "하나의 전쟁구역", 북러 무기교환… 강 건너 불인가

'탈원전' 거리 두는 민주당, 이런 성장·실용 정책 많아져야

관세협상 걸림돌 '갈라파고스 규제', 지금이 개혁 적기

▲ 세계일보 = 韓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막은 헌재 결정, 상식적이다

反明만으로 연대하자는 '빅텐트' 논의, 허상 아닌가

李 싱크탱크 3·4·5 전략, 반시장 정책으론 달성 못한다

▲ 아시아투데이 = 韓대행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앞으로가 더 걱정

대미 관세 협상, 일본 참고해 잘 준비해야

▲ 조선일보 = 美 AI 공급망 생태계에 대만밖에 안 보여

관세 협상 최종 결정은 새 정부가 하는 게 순리

주한 미군 역할 변경, 막을 수 있는 상황 아니다

▲ 중앙일보 = 제동 걸린 헌법재판관 지명, 한 대행이 철회해 결자해지를

의대 정원 2년 전으로 … 의료계도 교육 정상화 협조해야

▲ 한겨레 = 한덕수 '월권 지명' 효력정지, 당장 철회하고 사죄해야

한 대행 연일 지방순회, 대선 행보 의구심 자초한다

추경 '찔끔' 증액, 국회 심의에서 15조 이상으로 늘려야

▲ 한국일보 = 한 대행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 철회하고 관리자 역할 해야

양당 경선 본격화… 대결정치 청산과 미래비전 경쟁되길

누구도 우리 없이 '한반도 문제' 논의 안 된다

▲ 글로벌이코노믹 = 조선·LNG수입 카드, 미국에 통할까

상하이항發 미국행 해상운임도 추락

▲ 대한경제 = SOC 외면한 추경안… 국회에서 반영하라

지반침하 사고 잇따르는데 복공판까지 불안해서야

▲ 디지털타임스 = 이 와중에 '최상목 청문회'라니… 野, 정권교체 운운 자격 있나

여야 경선 대진표 확정… 눈 부릅뜨고 나라 구할 후보 선택해야

▲ 매일경제 = 더 진지해야 할 헌법재판관 지명권 행사

낮은 복귀율에도 의대 증원 0명 … 필수의료 패키지는 지켜야

심화된 수출 대미 의존 … 더 절실해진 韓美 관세 협상

▲ 브릿지경제 = 폐교 활용, 새로운 가능성 여는 '자산' 만들자

▲ 서울경제 = '성장·소득 증대' 외치는 후보들, 잠재성장률 제고 방안 토론하라

관세 협상 곧 돌입하는데 '경제사령탑' 탄핵 청문회 세운 민주당

日 금융사 수익 절반 해외서 내는데 韓 은행은 '우물 안 이자장사'

▲ 이데일리 = 국익 걸린 통상 외교, 정치권도 원팀으로 힘 합쳐야

美 하버드대-트럼프 정부 마찰, 이래서 주목된다

▲ 이투데이 = 찬바람 제조업에 얼음물 끼얹는 매표 경쟁

▲ 전자신문 = 공공 SW사업 적정대가, 법제화 당연

▲ 파이낸셜뉴스 = 줄줄 새는 실업급여·산재, 방치하는 공직자가 문제

역대 최대 순익 낸 금융지주, 상생과 혁신도 강화를

▲ 한국경제 = 韓 떠나는 AI 인재 잡으려면 … 해외엔 없는 규제부터 없애야

꼼수 복귀에도 의대 정원 동결 … 이제 정부 말 누가 믿겠나

이재명 "내수 부진부터 해결" … 우려되는 '기승전 돈풀기'

▲ 경북신문 = 불붙은 국민의 힘 경선… 치열한 4강 싸움

▲ 경북일보 = 경주 APEC 성공 위해 추경 반드시 반영해야

▲ 대경일보 = 벼랑에 선 중국 공장들

대형 산불 막는 철저한 사전 대비와 선제적인 투자 필요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