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립정신병원-은평병원, 정신질환자 연계 체계 구축 맞손

 서울시 은평병원은 경기도립정신병원과 정신질환자의 연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의료 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두 기관은 정신질환자의 진료를 위해 상호 의뢰 및 전원 등 연계적 진료를 위한 협력, 환자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진료 기술 지원·시설 이용, 의료기술 상호개방·학술회의 참여 협력을 하기로 했다.

 은평병원은 서울시 최초로 올해 하반기 '마약관리센터'를 열고 마약류 중독자 전문 치료 10개 병상을 운영할 예정이다.

 박유미 서울시 은평병원장은 "마약류 중독자와 중증 정신질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사회적 건강과 스트레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 다스리기에 관해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더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개인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건강'의 위기가 심각해 총체적 개선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나'만 있고 '우리'는 없는 사회로 가고 있어 그 과정에서 고립된 개인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OECD 자살률 1위, 항생제 남용 1위, 낮은 행복지수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거 경제 제일주의에 근거해 초경쟁적으로 살아온 결과, 미세먼지, 화학물질 오남용(ex-가습기 살균제 사건), 분노조절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많은 정신분석학자는 SNS에서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여주는 경향이 있어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과 스트레스,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경고한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필자는 SNS가 만

메디칼산업

더보기